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Modern art Pop & Contemporary Conceptual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s Desire Concept Abstract Art Work Review & Concept Abstract Modern Art Criticism [1/ 11~13] Case of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 Artworks Critique [16] Abstract Design <mo

Modern and contemporary artist

by Art Review 2024. 11. 28. 04:25

본문

Modern art Pop & Contemporary Conceptual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s Desire Concept Abstract Art Work Review & Concept Abstract Modern Art Criticism [1/ 11~13] Case of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 Artworks Critique [16] Abstract Design <morning glory p15-2> & Louis Choi Chul-joo Abstract Art Review: Choi Chul-joo Desire Concept Abstract Art Theory Presented & Famous Contemporary Painter, Contemporary Artists, Abstract Artists,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ists Criticize Works/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s Desire Concept Art Work 'Morning Glory' Abstract Design: Exhibition of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th the image of Desire's object, 20220308~20220310 Yeomyeong Hall, 2022 New York.

 

Exhibition of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th the image of Desire's object, 20220308~20220310 Yeomyeong Hall, 2022 New York.

 

Conceptualization of Desire: Conceptualization of Desire Art is a visualization of progress and results as objects of imagination and existence, facing artistic ideas and portraying the desires of others as objects of imagination and existence. Louis Choi Chuljoo's Conceptual Abstract Art faces artistic ideas and visualizes progressive phenomena and consequences as objects of Desire's imagination and existence. ( ACN ・ 2021. 12. 28. 17:07 Louis Choi Chul-joo' theory of abstract art)

 

Shape image as a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 It refers to another image of the background of a real concept that represents a real morning glory by repeating the color of the shadow on the object image of desire, and it is the object of the concept of desire that depicts the shadow structure created from non-real images with reversible light.

 

The object is abstraction as a contemporary desire concept artwork, which is repeated by symbolizing and overlapping the desires of others with reversible shades of light in "morning glory" the background design concept of contemporary desire concept artwork.

 

Realistic structures reflect the shape by being distorted by light.  It is the outline and shadow that are determined by the shade of light that reveals its shape. Realistic abstractions as treacherous conceptual art take note of this and shape realistic concepts.

(Louis' Conceptual Art Theory on Realistic Abstract Painting)  

Therefore, realistic abstraction using treacherous conceptual art abstracts realistic concepts by confirming the formation of the shape as a shade of light that distorts the realistic structure in everyday events. 

 

As a background of culture, shape abstracts the concept of a realistic structure and determines its shape by reversible shading of light, but the background in which the shape disappeared as the whole is covered according to its shape time is summarized as contemporary light.

(Louis' Cultural Concept Theory of Realistic Abstract Painting with Treacherous Conceptual Art)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5-2-2,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Realistic structures are reflected in the shape of shadow colors by light. It's the contours and shadows that are determined by the reversible shades of light that reveal that shape. This is the concept of desire, the art of realistic abstraction, which actually forms an abstract image of the concept of desire.

 

<morning glory p15-2-2>는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라캉의 오브제ɑ다.

뉴욕(Yeomyeong Hall)에서 한국 화가 & 팝 아티스트 루이 <나팔꽃>개인전 관련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으로서 디자인 컨셉으로 한 포스터를 제작하여서 이것을 라캉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의 디자인 즉 회화의 <나팔꽃>을 기호화한 현대 추상화다.

 

현대미술 작품: 한국 화가 루이 최철주 2022 뉴욕 Yeomyeong Hall 전시 /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5-2-2,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비사실적 실재의 형상을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루이 최철주 2022 뉴욕 전시/ morning glory p15-2-2)는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의 자리를 드러낸 추상적 이미지의 오브제ɑ를 보인다.

그 오브제ɑ 는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morning glory p15-2-2)은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공용이 화석된 긴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어떤 형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전시 포스터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추상의 의미 즉 오브제ɑ를 말한다. 

 

여기서 추상의 의미가 각기 다른 이미지들을 다른 시점에서 그려서 한 화면에 집결시켜서 투시법에서 어긋나는 혁명적인 그림의 형식을 구성한 것이 라캉적 추상화 디자인 방식이다. 이것은 낭만주의 화가들이 그림을 그렸던 방식의 매너리즘을 거부한 새로운 시도다. 즉 낭만주의 회화에서 투사된 빛의 피사체의 자리를 존재의 자리로 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나팔꽃> 추상화로 근대미술과의 결별하면서 현대미술의 새로운 양식을 추구한다. 

『추상의 의미가 각기 다른 이미지들을 다른 시점에서 그려서 한 화면에 집결시켜서 투시법에서 어긋나는 혁명적인 그림의 형식을 구성한 것이 라캉적 추상화 디자인 방식이다. 이것은 낭만주의 화가들이 그림을 그렸던 방식의 매너리즘을 거부한 새로운 시도다. 즉 낭만주의 회화에서 투사된 빛의 피사체의 자리를 존재의 자리로 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나팔꽃> 추상화로 근대미술과의 결별하면서 현대미술의 새로운 양식을 추구한다.』 = 현대미술 최철주 <나팔꽃> 추상화 해석

현대미술 작품: 한국 화가 루이 최철주 2022 뉴욕 Yeomyeong Hall 전시/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5-2,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개념 미술로 한 <morning glory p15-2>은 전시 포스터 이미지로서의 라캉적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추상적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보는 관점에 따라 실재와 비실재에 대한 예술론적 담론이 이어지고 있다. 실재와 비실재가 오브제를 재현하는 가시적 이미지로서 선택할 수 없으며 오브제를 실제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회화적 이미지는 비실재로서의 이미지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오브제에서 실재를 찾는 방법은 라캉의 오브제ɑ와 유사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한 왜상적 이미지로서의 <나팔꽃> 추상화로 드러내는 것이다. 

이것은 구상적 형태로서 동일한 의미의 구조로 한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추상이지만 그 형상이 다른 동일한 의미로서의 추상화는 유사한 색깔과 크기가 다른 사상적 비형상의 존재로서 실재하는 비사실적이기 때문이다.

그 존재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이미지로서 <나팔꽃> 전시 포스터 이미지다. 이것은 개념을 설치 미술로 추상화 한다.

 

배반적 개념미술로서의 추상화는 미술에서 사실적 구조물로서의 추상화를 말한다. 사실적 형상의 자리에 존재하는 개념적 의미들은 만화 리브 이미지로 구분될 수 있으므로, 추상화는 타인의 추상적 욕망을 만화 리브 이미지로 해석하는 가역적인 빛의 음영을 통해 그려진다.

Abstract painting as a treacherous conceptual art refers to abstract painting as a realistic structure in art. Since the conceptual meanings present in the place of the realistic shape can be divided into cartoon rib images, the abstraction is drawn through a reversible shade of light that interprets another person's abstract desire as a cartoon rib image as an image. (*Cartoon rib image, that is, an image that emphasizes the hidden meaning of the cartoon)

Choi Kwan-woo, Media-art "최철주신윤복풍주밀회도(申潤福風晝密會圖)", Media-art; Cs-21-4-3,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추상화 의미의 현상적 자리를 전시 포스터로 대신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형상의 자리를 구별할 수 있어서 그 형상을 해석하는 이면(裏面)의 의미를 구상한다. 그 형상은 다른 의미를 말하려고 사상적 구조로 한 그 의미와 유사한 색깔과 크기의 추상하지만 상상계에서 개념 미술의 추상적 의미는 실재와의 동일시하여서 외형적으로 오브제의 이미지와 추상적 의미를 동일한 주체로써 오브제의 이미지와 동일시되면서 내적으로 주체는 변형된 추상적 의미를 형성한다이것은 형상의 추상적 의미를 가리키며, 그 형상은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서 변화된 형상이 음영으로 가려지는 추상된 형상의 디자인적 의미를 가리킨다.

그 의미는 타자의 욕망<morning glory p15-2-2> 를 모방한 꽃을 상징하는 기호적 언어로 추상된 <최철주신윤복풍주밀회도(申潤福風晝密會圖)>로 디자인된다.

 

Choi Chul-joo, <I Can't Stop Me 6>,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Choi Kwan-woo, Media-art "최철주신윤복풍주밀회도(申潤福風晝密會圖)"

 

 

 

개념 설치 미술가 최철주 현대미술 미디어아트: Media-art "최철주신윤복풍주밀회도(申潤福風晝密會圖)

 

 

Choi Kwan-woo, Media-art "최철주신윤복풍주밀회도(申潤福風晝密會圖) 

 

 

 

현대미술 작품: 한국 화가 루이 최철주 2022 뉴욕전시/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5-2-1,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실제적 <나팔꽃> 형상과 응시적 형상에서 주제에 어울리는 피상(皮相)적 면으로 이미지를 표상한다. 여기서 풍습의 변화 대상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은 하나의 대상으로 보이는 또 다른 이미지다. 그것은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작은 조각으로 그려진 대상의 물질로 감추어지고 사라진다. 

그 대상의 작은 조각은 단색화 하여서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어떤 형상의 의미를 가리키며, 그 작은 대상은 실제 가역할 수 있는 <나팔꽃> 공간을 정의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형상의 의미를 가리킨다.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5-2,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현대미술 개념 설치 미술가 작품: 한국 화가 루이 최철주 2022 뉴욕 Yeomyeong Hall 전시/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5-2,

 

추상 공간의 <나팔꽃 P15-2> 자리를 더 이상 포스터로 명시하지않고 라캉의 해석의 네 방위=Jacques Marie Émile Lacan, Écrits, Seuil, 1977, 53)”에 적용한다면 상상계로서 이미지ⓐ ('utre)와 말(moi) a의 선과 상징계로서 해석A (utre)와 그림(Es) S의 선을 교차하는 대각선 위치에 둠으로써 회화 작품을 '해석의 네 방위(The quadruple)'로 해석한.

여기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거울이론을 통해 실재를 드러내는 것은 유아가 거울에 비친 기표적 이미지를 상상계 이미지ⓐ와 동일시하게 상상계에서부터 시작된다주체로써 기표적 이미지가 자신이 아닌 것을 인지하면서 기표의 상징적 이미지와 실재와의 분리를 통해 상징계로서 해석A (utre)된 추상화로 전이한다그 추상화 이미지와 실재가 분열을 통해 실재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실재로서 기표적 이미지는 왜상적 이미지로 드러나지만 비실재로서 실재와의 어긋난 만남 즉 추상화 다. (ACN. 2022.10.14 '라캉 해석의 네 방위'에 대한 최철주 해석)

 

현대미술 개념 설치미술가 작품: 한국 화가 루이 최철주 2022 뉴욕 Yeomyeong Hall 전시 /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p15-2,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나팔꽃 p15-2>는 수학적 개념과 철학적으로 의미화한 언어적 해석을 넘어서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여기서 라캉적 회화는 임의적인 철학성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응시로서 순간적으로 이성적 지각할 수 있는 회화성을 말한다. (ACN ・ 2022. 4. 20. / 유아로서 병아리가 본 타자의 욕망 <나팔꽃> New York Exhibition 뉴욕 전시 도슨트1)

 

라캉적 디자인방법론(Lacan's design methodology)으로 한 회화 디자인에 대한 라캉적 도슨트: 라캉적 디자이너, 디자인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디자인방법론: 현대미술 추상 한국화 작품으로서 <I Can't Stop Me 6>에 라캉의 환유공식 f(S...S')S=˜ S (-)s 적용하여서 가역적 빛으로 생성한 페인팅 <최철주신윤복풍주밀회도(申潤福風晝密會圖)>를 중첩한다. 그리고 언어적 은유 이미지를 연쇄하여서 라캉의 환유공식을 재적용하여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한 공간의 또 다른 자리에 현상적 개념적 자리를 정하여 <morning glory p15-2>로 추상화 한다. 

이것은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에서의 포스터로 전이 하여서 라캉적 오브제를 실제화함에 따라 포스터가 아닌 비실재의 사실적 추상화가 된다. 

 

이것은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에서 포스터 이미지에 의미가 미출현하는 라캉의 환상공식($◇ɑ)의 소쉬르 연산식에 대입하여서 병아리가 상상하는 닭으로 한 타자의 욕망은 쾌락과 성적충동의 만족(Jouissance)과 함께 배경의 나팔꽃을 잡으려는 빗금친 기의(s(ɑ/))에서 분열된 주체($◇D)는 거세(castration)에 도달한다. 이것은 시각체계에서 보이는 병아리가 상상하는 비일관성을 음영으로 은폐한 나팔꽃을 스크린으로 한 이미지를 보인다.(ACN ・ 2021. 12. 29. 0:01 라캉의 환상공식($◇ɑ)

 

실재의 상과 다른 이미지의 라캉적 상은 실재와 다른 타자의 욕망적 상이기 때문에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감추어진다. 이것은 타자가 만족하는 거울에 비친 실재의 상인 기표(signifier)와 다른 이미지의 상을 동일한 기표로 동일화하여 보이는 타자의 욕망을 추상화로 은유하여서 실재의 의미가 상상계로 전달된다. 

그것은 보이는 은유로서의 상상계다. 그러나 두 개의 상에서 주체가 어느 것인지를 구분되지 않는다이 두 개의 상을 보이는 오브제로 동일시한다. 여기서 실재의 상과 다른 이미지로서의 라캉적 상을 실재성을 보고 타자가 욕망을 보인다. 


실재와 비실재가 오브제를 재현하는 가시적 이미지로서 선택할 수 없으며 오브제를 실제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회화적 이미지는 비실재로서의 이미지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오브제에서 실재를 찾는 방법이 라캉의 오브제ɑ와 타자의 욕망이 존재헸던 자리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투사한 왜상적 이미지다. 

라캉의 오브제ɑ는 스크린적 이미지로서 빛이 드러나는 점에서 응시로써 보인다. 여기서의 빛은 가상적 이미지를 조명하는 것으로 상인 기표(signifier)와 다른 이미지의 상을 라캉적 실재의 동일한 기표로 추상화하여 보이는 은유로써의 존재의 의미를 표상한다.  /글. 미술평론가 최철주 (추상 화가 & 문화디자인박사)

 

 Modern Painter Louis Choi Chul-joo

 

-------------------------------------------------------------                                                                          

modern art pop abstract artist 11

 Case of Modern Conceptual Abstract Art 1

 

Modern art Pop & Contemporary Conceptual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s Desire Concept Abstract Art Work Review & Concept Abstract Modern Art Criticism [11] Case of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 Artworks Critique [3] Abstract Design <morning glory window 2023-1> & Louis Choi Chul-joo Abstract Art Review: Choi Chul-joo Desire Concept Abstract Art Theory Presented & Famous Contemporary Painter, Contemporary Artists, Abstract Artists,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ists Criticize Works/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s Desire Concept Art Work 'Morning Glory' Abstract Design: Exhibition of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th the image of Desire's object.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p26-2-7> / New York Exhibition: Louis Chul-joo Choi's "morning glory": Exhibition of Louis's "morning glory"with the image of Lacan's object ɑ and Picasso's Anamorphosis, 20220301~2022038 Flushing Town Hall, New York.

 

Conceptualization of Desire: Conceptualization of Desire Art is a visualization of progress and results as objects of imagination and existence, facing artistic ideas and portraying the desires of others as objects of imagination and existence. Louis Choi Chuljoo's Conceptual Abstract Art faces artistic ideas and visualizes progressive phenomena and consequences as objects of Desire's imagination and existence. ( ACN ・ 2021. 12. 28. 17:07 Louis Choi Chul-joo' theory of abstract art)

 

Shape image as a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 It refers to another image of the background of a real concept that represents a real morning glory by repeating the color of the shadow on the object image of desire, and it is the object of the concept of desire that depicts the shadow structure created from non-real images with reversible light.

 

The object is abstraction as a contemporary desire concept artwork, which is repeated by symbolizing and overlapping the desires of others with reversible shades of light in "morning glory" the background design concept of contemporary desire concept artwork.

 

Realistic structures reflect the shape by being distorted by light.  It is the outline and shadow that are determined by the shade of light that reveals its shape. Realistic abstractions as treacherous conceptual art take note of this and shape realistic concepts.

(Louis' Conceptual Art Theory on Realistic Abstract Painting)  

Therefore, realistic abstraction using treacherous conceptual art abstracts realistic concepts by confirming the formation of the shape as a shade of light that distorts the realistic structure in everyday events. 

 

As a background of culture, shape abstracts the concept of a realistic structure and determines its shape by reversible shading of light, but the background in which the shape disappeared as the whole is covered according to its shape time is summarized as contemporary light.

(Louis' Cultural Concept Theory of Realistic Abstract Painting with Treacherous Conceptual Art)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1, 151X17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Realistic structures are reflected in the shape of shadow colors by light. It's the contours and shadows that are determined by the reversible shades of light that reveal that shape. This is the concept of desire, the art of realistic abstraction, which actually forms an abstract image of the concept of desire.

 

 

루이 최철주 추상화 나팔꽃 윈도우 개념: 

이것은 오브제ɑ의 결핍된 주체 형상에서 하나의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를 비켜서 타자의 주체를 지나가는 순간적 형상을 드러내는 창문 밖에서의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구조가 주체의 형상을 소외시키는 타자의 욕망을 개념하는 형상을 원인한다.

(ACN ・ 2023. 3. 9. 17:41 라캉 '해석의 네 방위'에 따른 최철주 '나팔꽃윈도우' 개념 해석)

 

그것은 나팔꽃추상화가 가역적 빛으로 음영된 오브제ɑ의 뒷면으로 전이되면서 결핍된 주체 형상에서 거울에 비춰진 하나의 이미지로서 <최철주나팔꽃 윈도우 2023-1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가 타자의 욕망적 공간속에서 나팔꽃추상화 이미지를 거울에 비춰서 타자의 주체를 지나가는 순간적 형상을 창문 밖에서 드러내는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구조로 귀결하고 나팔꽃추상화 주체의 형상을 소외시키고 타자의 욕망을 개념하는 앞면과 뒷면이 교차하는 천에 그려진 쓰레드 페인팅으로 음영된다.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ndow 2023-1>은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육화된 닭의 오브제ɑ를 현대미술 회화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가역광으로 한 음영으로 변형한 현대 추상화 다.

 

뉴욕(Flushing Town Hall & Yeomyeong Hall)에서 루이 <나팔꽃>은 2회 개인전 관련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으로서 현대미술 회화 디자인 컨셉으로 한 포스터와 오브제 추상화를 제작했다 이것을 라캉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의 회화 디자인 즉 추상화의 전시 이미지로서 기호화한 것이 <최철주나팔꽃> 이다.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구조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 <최철주나팔꽃>은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음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현대 추상의 의미 즉 오브제ɑ를 대리한다.

여기서의 오브제ɑ에서 출현한 예술성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회화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개념된 오브제ɑ를 드러내고 그 오브제ɑ가 창조성과 타자의 욕망의 자율성으로 한 예술적 개념 의미를 보인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육화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대리한다. 이것은 추상적 오브제의 개념을 가리키며, 그 오브제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이루고 형상의 실제가 추상된 타자의 욕망을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가려진 추상적 풍경속에서 추상적 형상으로 그 개념을 가리킨다.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1, 151X17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라캉적 개념미술로 한 회화 도슨트: 라캉적 개념미술은 예술적 관념을 직시하며 라캉의 상상과 존재의 대상을 그리는 것으로 진행 현상과 결과를 시각화. Painting docent as Lacan conceptual art: Lacan conceptual art faces artistic ideas. It visualizes the phenomenon of progressive phenomenon and results as painting objects of Lacan's an imagination and existence. ( ACN ・ 2021. 12. 28. 17:07 라캉적 도슨트)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 이미지를 오브제로 디자인한 라캉의 오브제ɑ<morning glory 2023-1>은 비실재의 개념미술 이미지 화폭에 어두운 청색으로 연쇄하여서 실재 나팔꽃의 실재 개념미술 이미지다. 이것은 <Choi chuljoo morning glory woidow>에서 전이한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ndow 2023-1>을 의미하며 비실재의 사실적 이미지를 가역적 빛으로서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수작업으로 그리진 라캉적 오브제ɑ다.

그 오브제ɑ의 형상은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의 디자인 컨셉으로 한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ndow 2023-1>에 타자의 욕망을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중첩해 그려서 이것을 기호화하여서 연쇄한 현대 개념미술 작품으로서의 추상화 다. 

 

추상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가역광으로 변형한 오브제의 현대 추상화/ Thread painting =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1, 151X17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뉴욕(Flushing Town Hall & Yeomyeong Hall)에서 한국 화가 & 팝 아티스트 루이 <나팔꽃>개인전 관련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으로서 디자인 컨셉으로 한 포스터를 제작하여서 이것을 라캉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의 디자인 즉 회화의 전시 포스터 이미지를 기호화한 현대 추상화다.

 

비사실적 실재의 형상을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루이 최철주, 창문 밖에 나팔꽃)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의 자리를 드러낸 추상적 이미지의 오브제ɑ를 보인다.

 

그 오브제ɑ 는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창문 밖에 나팔꽃)은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공용이 화석된 긴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어떤 형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전시 포스터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추상의 의미 즉 오브제ɑ를 말한다. 

 

현대미술 회화 디자인: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기호화한 오브제 디자인 =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1, 151X17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The abstract area of painting, which has a specific effect of desire as the meaning of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1> as a conceptual art, is an image that allows you to see the desires of others functioning while staring at the landscape. 

This is a perverse planarity that appears to consistently mean the morning glory in the painting, which is identical to the reality in the mirror, but not the shape of the background. Abstraction as a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 of a non-realistic form with the same meaning as the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 but abstract as the same meaning of another form is real non-realistic as an ideological non-realistic being of different color and size.

Its existence means the abstract meaning of exhibition poster concept art, which defines abstract space as a real reversible image, and whose image is obscured by real changes in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Desire Conceptual Art Abstraction, which replaces the phenomenal place of abstract meaning with exhibition posters, can distinguish the place of the shape while conceiving the meaning of the plane that interprets the shape. Shape is abstract in color and size similar to that of an ideological structure, so it has a different meaning, but in the imaginary world, the abstract meaning of the conceptual art is identified with reality, the image of the object and the abstract meaning are identified with the image of the object, and the subject forms an internally transformed abstract meaning. This refers to the abstract meaning of the figure, which defines the abstract space that can actually be reversible, and the design meaning of the abstract figure in which the shape changed by the actual changed movement of the shape is obscured by shading.

 

 In the abstract painting "Choi Chul-joo morning glory", the person who represents the desire of others is designed and reproduced as an abstract object with an object of desire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and in the graphic image of the perspective visual system, the visual system abstracts the object from the perspective of others' desires with another moment's gaze.

In this way, the image of an object abstracted as a desire concept art forms a distorted image expressed through the other's suppressed unconscious desire to acquire artistry beyond generality, and creates an object with a shadow of an exhibition image with the desire of the other. As a semantic entity, objects contain the formative value of the other's desires as an autonomous choice, change the image of the object into a meaningful structu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ther's desires, and reveal objects as another entity of the object.

 

And a small piece of the other's desire, hidden painterly against the backdrop of morning glory, shows a real abstract space that is actually reversible through the movement of symbolic weight that changes shape. Here, the desire of the other is abstracted into a space where the object can actually be reversible in the sense that it is an abstract object.

 

<morning glory> 2022 New York Exhibition & Korean Painting Abstract Design Modern Artworks: Abstract Images Separated from Picasso's Stereotypes from Objects of Desire: <morning glory p26-2-1>

 

 Choi Chul-joo's Concept of Desire Formul: In the concept of Choi Chul-joo's desire,  mathematical desire as an axiom of logic in the concept of desire results in reality as a concrete phenomenon rather than based on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linguistic meaning through abstract design. Therefore, the rendering of the desire structure revealed by abstract encounter with reality at the intersection of desire outside the window applies the mathematical desire concept abstract design, or the image of the desire concept, to the Choi Chul-joo desire formula, and on March 1, 2022, morning glory appears as a flat real image as the subject of desire as a reversible shade of light in the Flushing Town Hall (New York) exhibition./ The image of desire, which applies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 to 'morning glory', connects the concept of desire with the background of 'morning glory' as an image to create a landscape by floating morning glory in the sky. In addition, in <morning glory>, the desire formula "D(I...I')d=I(D...D')i" is substituted, the connection effect between the concept of desire and the "morning glory" as desire image shades the concept of desire in the reversible shadow structure by setting the object as the concept of desire image of women by the "morning glory". In other words, the image of desire (I) is the structure of desire (D) because desire (D) is repeated (I...I') in several images (D...D'), and the image of art behavior or desire image(I) appears as the concept of desire(i). 

 

Abstract poster virtuality consists of cartoons similar to gaze images, virtual representations of distorted images that cannot be represented on the same plane, or stereoscopic representations of real places.

Shadows made up of other people's desires are clearly concealed without being exposed as reflected objects in the mirror, and there is no reality that humans see other objects in the mirror as reversible light. 

 

But the person who drew the picture replaces the other. And the position revealed by the gaze of desire is transferred to the subject that appears at the point of disappearance in the entire virtual image, the position of atopy with no specific place. The subject of the subject's position is the gaz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ther's desire, that is, the object revealed by reality.   

 

Concept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

 

-------------------------------------------------------------                                                                          

modern art pop abstract artist 12

 Case of Modern Conceptual Abstract Art 12 

 

Modern art Pop & Contemporary Conceptual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s Desire Concept Abstract Art Work Review & Concept Abstract Modern Art Criticism [12] Case of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 Artworks Critique, Abstract Design <morning glory window 2023-2> & Louis Choi Chul-joo Abstract Art Review: Choi Chul-joo Desire Concept Abstract Art Theory Presented & Famous Contemporary Painter, Contemporary Artists, Abstract Artists,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ists Criticize Works/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s Desire Concept Art Work 'Morning Glory' Abstract Design: Exhibition of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th the image of Desire's object, 20220301~20220308 Flushing Town Hall, New York.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p36-6> / Art & Design review: the New York Contemporary Art Exhibition of "Morning glory" abstract painting(Poster): an exhibition of the desires of others seen by a chick as an infant." a contemporary art work that applies artist Louis Chul-joo Choi's Lacan art theory. 20220301~20220308 Flushing Town Hall, New York. 

 

 Conceptualization of Desire: Conceptualization of Desire Art is a visualization of progress and results as objects of imagination and existence, facing artistic ideas and portraying the desires of others as objects of imagination and existence. Louis Choi Chuljoo's Conceptual Abstract Art faces artistic ideas and visualizes progressive phenomena and consequences as objects of Desire's imagination and existence. ( ACN ・ 2021. 12. 28. 17:07 Louis Choi Chul-joo' theory of abstract art)

 

Shape image as a conceptual semantic structure: It refers to another image of the background of a real concept that represents a real morning glory by repeating the color of the shadow on the object image of desire, and it is the object of the concept of desire that depicts the shadow structure created from non-real images with reversible light.

 

The object is abstraction as a contemporary desire concept artwork, which is repeated by symbolizing and overlapping the desires of others with reversible shades of light in "morning glory" the background design concept of contemporary desire concept artwork.

 

Realistic structures reflect the shape by being distorted by light.  It is the outline and shadow that are determined by the shade of light that reveals its shape. Realistic abstractions as treacherous conceptual art take note of this and shape realistic concepts.

(Louis' Conceptual Art Theory on Realistic Abstract Painting)  

Therefore, realistic abstraction using treacherous conceptual art abstracts realistic concepts by confirming the formation of the shape as a shade of light that distorts the realistic structure in everyday events. 

 

As a background of culture, shape abstracts the concept of a realistic structure and determines its shape by reversible shading of light, but the background in which the shape disappeared as the whole is covered according to its shape time is summarized as contemporary light.

(Louis' Cultural Concept Theory of Realistic Abstract Painting with Treacherous Conceptual Art)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2, 151X17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Realistic structures are reflected in the shape of shadow colors by light. It's the contours and shadows that are determined by the reversible shades of light that reveal that shape. This is the concept of desire, the art of realistic abstraction, which actually forms an abstract image of the concept of desire.

 

 

루이 최철주 추상화 나팔꽃 윈도우 개념: 

이것은 오브제ɑ의 결핍된 주체 형상에서 하나의 이미지가 다른 이미지를 비켜서 타자의 주체를 지나가는 순간적 형상을 드러내는 창문 밖에서의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구조가 주체의 형상을 소외시키는 타자의 욕망을 개념하는 형상을 원인한다.

(ACN ・ 2023. 3. 9. 17:41 라캉 '해석의 네 방위'에 따른 최철주 '나팔꽃윈도우' 개념 해석)

 

그것은 나팔꽃추상화가 가역적 빛으로 음영된 오브제ɑ의 뒷면으로 전이되면서 결핍된 주체 형상에서 거울에 비춰진 하나의 이미지로서 <최철주나팔꽃 윈도우 2023-2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가 타자의 욕망적 공간속에서 나팔꽃추상화 이미지를 거울에 비춰서 타자의 주체를 지나가는 순간적 형상을 창문 밖에서 드러내는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구조로 귀결하고 나팔꽃추상화 주체의 형상을 소외시키고 타자의 욕망을 개념하는 앞면과 뒷면이 교차하는 천에 그려진 쓰레드 페인팅으로 음영된다.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ndow 2023-2>는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육화된 닭의 오브제ɑ를 현대미술 회화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가역광으로 한 음영으로 변형한 현대 추상화 다.

 

뉴욕(Flushing Town Hall & Yeomyeong Hall)에서 루이 <나팔꽃>은 2회 개인전 관련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으로서 현대미술 회화 디자인 컨셉으로 한 포스터와 오브제 추상화를 제작했다 이것을 라캉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의 회화 디자인 즉 추상화의 전시 이미지로서 기호화한 것이 <최철주나팔꽃> 이다.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구조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 <최철주나팔꽃>은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음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현대 추상의 의미 즉 오브제ɑ를 대리한다.

여기서의 오브제ɑ에서 출현한 예술성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회화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개념된 오브제ɑ를 드러내고 그 오브제ɑ가 창조성과 타자의 욕망의 자율성으로 한 예술적 개념 의미를 보인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육화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대리한다. 이것은 추상적 오브제의 개념을 가리키며, 그 오브제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이루고 형상의 실제가 추상된 타자의 욕망을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가려진 추상적 풍경속에서 추상적 형상으로 그 개념을 가리킨다.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2, 151X179~177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라캉적 개념미술로 한 회화 도슨트: 라캉적 개념미술은 예술적 관념을 직시하며 라캉의 상상과 존재의 대상을 그리는 것으로 진행 현상과 결과를 시각화. Painting docent as Lacan conceptual art: Lacan conceptual art faces artistic ideas. It visualizes the phenomenon of progressive phenomenon and results as painting objects of Lacan's an imagination and existence. ( ACN ・ 2021. 12. 28. 17:07 라캉적 도슨트)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 이미지를 오브제로 디자인한 라캉의 오브제ɑ<morning glory window 2023-2>는 비실재의 개념미술 이미지 화폭에 어두운 청색으로 연쇄하여서 실재 나팔꽃의 실재 개념미술 이미지다. 이것은 <Choi chuljoo morning glory woidow>에서 전이한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ndow 2023-2>를 의미하며 비실재의 사실적 이미지를 가역적 빛으로서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수작업으로 그리진 라캉적 오브제ɑ다.

 

그 오브제ɑ의 형상은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의 디자인 컨셉으로 한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ndow 2023-2>에 타자의 욕망을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중첩해 그려서 이것을 기호화하여서 연쇄한 현대 개념미술 작품으로서의 추상화 다. 

 

Yeomyeong Hall Gym

                                                

뉴욕(Flushing Town Hall)에서 추상 화가 & 설치미술가 루이 최철주는 <나팔꽃>개인전 관련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으로서 디자인 컨셉으로 한 포스터를 제작하여서 이것을 라캉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의 디자인 즉 회화의 전시 포스터 이미지를 기호화한 현대 추상화다.

또 다른 전시 자리는 뉴욕(Yeomyeong Hall)에 농구대가 있는 Yeomyeong Hall Gym 이다. 그 자리에 벽면과 출입구 그리고 농구대를 배경으로 <나팔꽃>과 여러개의 의자를 사실적 실재로 한 설치 미술을 전시했다.

 

Yeomyeong Hall Gym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2>는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라캉의 오브제ɑ다.

비사실적 실재의 형상을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루이 최철주, 창문 밖에 나팔꽃)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의 자리를 드러낸 추상적 이미지의 오브제ɑ를 보인다.

그 오브제ɑ 는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창문 밖에 나팔꽃)은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공용이 화석된 긴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어떤 형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전시 포스터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추상의 의미 즉 오브제ɑ를 말한다. 

 

현대미술 회화 디자인: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기호화한 오브제 디자인 =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2, 151X178cm, 151X179~177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라캉적 주체를 드러내는 것은 결여된 주체로서 오브제ɑ를 드러냄이다. 이것은 추상화 <나팔꽃>에서 타자의 욕망을 주체로 한 형상에서 재구성된 결여를 대리하는 피사체 다. 그 피사체에 음페된 결여를 상징하는 주체의 이미지를 드러내는 프레임을 구성하고 유아가 비존재에서 벗어나 주체로서 실재를 선택하려고 그 프레임 속에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오브제ɑ를 생성한 것이 <나팔꽃 윈도우> 다. 

 

이것은 사실적인 실재로 귀결한 욕망의 물리적 구조다. 그 구조는 입체적 형태에서 여러 개의 왜상적 단면을 갖고서 개념미술로 한 회화적 이미지를 하나의 개념에서의 오브제로서 의미 구조의 다면적 이미지로 추상한다. ( ACN ・ 2023. 6. 22. 23:13  <나팔꽃 윈도우> 주체 이미지: 최철주추상개념미술이론)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2>는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라캉의 오브제ɑ다.

현대 추상화로서 <최철주나팔꽃>은 초기 개념미술의 개념으로 한 회화성의 복귀다. 즉 주체로서 <나팔꽃>을 지나가는 순간적 형상을 드러내는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구조가 타자의 욕망을 개념하는 형상을 추상화 작품으로 생성하는 현대 개념미술이다. 이것은 미니멀 아트로 한 과정을 보이는 미술과는 다른 배반적 개념미술로 한 라캉의 미술이론에 귀속된 개념미술로서 사실적 실재로 귀결한 욕망의 물리적 구조다.

그 구조는 입체적 형태에서 여러 개의 왜상적 단면을 갖고서 개념미술로 한 회화적 이미지를 하나의 개념에서의 오브제로서 의미 구조의 다면적 이미지로 추상하여서 대상을 입면으로 정시하지 않고 왜곡된 시점으로의 교차점에서 여러개의 입체의 단면을 보인다 

 

개념 미술로 한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2> 의미로서의 라캉적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추상적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구상적 형태로서 동일한 의미의 구조로 한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추상이지만 그 형상이 다른 동일한 의미로서의 추상화는 유사한 색깔과 크기가 다른 사상적 비형상의 존재로서 실재하는 비사실적이기 때문이다.

그 존재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전시 포스터 개념 미술의 추상화 의미를 말한다.

그 추상화 의미의 현상적 자리를 전시 포스터로 대신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형상의 자리를 구별할 수 있어서 그 형상을 해석하는 이면(裏面)의 의미를 구상한다. 그 형상은 다른 의미를 말하려고 사상적 구조로 한 그 의미와 유사한 색깔과 크기의 추상하지만 상상계에서 개념 미술의 추상적 의미는 실재와의 동일시하여서 외형적으로 오브제의 이미지와 추상적 의미를 동일한 주체로써 오브제의 이미지와 동일시되면서 내적으로 주체는 변형된 추상적 의미를 형성한다. 이것은 형상의 추상적 의미를 가리키며, 그 형상은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서 변화된 형상이 음영으로 가려지는 추상된 형상의 디자인적 의미를 가리킨다.

 

추상된 <최철주나팔꽃>에 타자의 욕망을 대리하는 형상을 디자인하여서 라캉의 오브제ɑ(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2) 로서 추상적 오브제로서의 재현한다. 그것은 원근법적 시각체계의 기학적 도식에서는 시각체계가 은폐된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자리를 만들어냄으로서 무의식에서 드러난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각각이 다른 순간적인 응시로서의 오브제ɑ가 추상된다.

이렇게 라캉적 개념미술로 추상된 오브제ɑ는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타자의 욕망을 존재로 한 전시 포스터 조형성의 음영으로 오브제ɑ를 생성하고 의미로서 존재한다. 그 의미적 존재로서 오브제ɑ는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어서 타자의 욕망의 자율적 선택으로 한 조형적 가치를 담고 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을 추상적 오브제의 존재 의미로 그 오브제를 실제 가역할 수 있는 공간에 추상하여서 자리한다.

 

동일한 평면에서 표현할 수 없는 왜상적 이미지를 가상적으로 재현한 응시적 이미지와 유사하거나 그 이미지와의 연관성으로 한 큐비즘으로 실재의 자리를 대리한 것처럼 추상적 전시 포스터의 가상성을 큐비즘적 이미지에 맞춘 조각들을 개념만평으로서 구조화 한다.

타자의 욕망으로 이루어진 얼개는 분명히 거울에 비쳐진 오브제로 드러나지 않고 은폐되었으며 거울에 드러난 또 다른 오브제를 가역적 빛으로 봄으로서 그림을 보는 자의 실재는 부재한다. 

다만 그 그림을 그린 이가 타자를 대신한다. 그리고 라캉의 응시로써 드러난 자리는 전체의 가상적 이미지에서의 소실점에 등장한 피사체의 위치 즉 atopia로 전이한다. 그 피사체 위치의 주체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응시로써 드러낸 오브제 즉 실재다. 

그 실재의 구조적 물리성은 입체적 형태에서 여러 개의 단면을 갖고서 개념적 회화에서 한 개의 단면과 두 개의 측면을 하나의 개념에서의 오브제로 형태적 구조의 다면적 개념성을 포치한다.

따라서 타자의 욕망을 피사체로서 개념하는 문화 공간에서의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구성된 큐비즘적 팝아트 공간을 욕망적 행위를 물리적 실재로 드러내어서 사실적인 실재로서 오브제를 ‘응시’하게 한다. 

 

루이 최철주 2022 뉴욕 전시에서의 라캉적 개념미술로 디자인한 포스터100이 라캉적 오브제를 실제화한 추상화의 출현을 말한다. 사실적인 실재로 귀결한 욕망의 물리적 구조다. 그 구조는 입체적 형태에서 여러 개의 왜상적 단면을 갖고서 개념미술로 한 회화적 이미지를 하나의 개념에서의 오브제로서 의미 구조의 다면적 이미지로 추상한다. 

따라서 구상적 형태로서 동일한 의미의 구조로 한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추상이지만 그 형상이 다른 동일한 의미로서의 추상화한 유사한 색깔과 크기가 다른 사상적 비형상의 존재로서 실재하는 비사실적 이미지 다.

그 존재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 미술의 추상화 의미를 말한다.

 

 

■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에서 라캉의 미술 이론을 추상화에 연쇄하여서 기표 이미지를 기의 이미지로 전환하고자 라캉의 미술 이론을 형식화한다. 이것은 라캉의 상상계와 환상공식을 반복 적용하여서 타자의 욕망을 회화에 발현하는 의미를 가지며, 라캉미술이론을 회화에 적용한 결과로서 타자의 욕망을 조형미에 접근하는 가치를 얻는다.

 

■ <최철주 나팔꽃>은 주제의 대상이 아니고 타자의 욕망 공간적 배경이다. 하늘처럼 일관된 삶의 공간과 동일하다. 그 삶의 공간을 대리하는 만평과 팝아트에 연결하지만 비평하고 판단하지 않고, 사건의 사진으로 실재를 뉴스로 재현한다. 그리고 상징하는 대상의 실재를 타자의 욕망으로 개념화하는 효과는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구조화하여서 개념을 미술한다.

 

개념미술가 최철주의 라캉적 개념 추상화 디자인은 개념으로 한 회화성의 복귀다. 즉 회화 작품으로 생성하는 개념미술 디자인이다. 따라서 그의 현대 개념미술로 한 추상화는 시사만평처럼 현상적 이미지를 비판하지만 회화성으로 디자인적 가치를 말한다.

 

미술품에서 Ready made 기성품이 회화성을 대신할 수 없고 Marcel Duchamp 뒤샹처럼 창조된 개념과 그의 동조자 Joseph Kosuth 조셉 코수스가 말한 철학에 따른 메시지를 말한다. 

 

반면에 라캉 미술이론에서의 유아적 상상계의 허상을 개념으로 한 최철주의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은 시사만평으로 개념의 의미를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 이미지에 메시지를 담는다. 그것은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이것은 수학적 개념과 철학적으로 의미화한 언어적 해석을 넘어서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을 통해서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여기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은 임의적인 철학성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응시로서 순간적으로 이성적 지각할 수 있는 추상성 디자인을 말한다. (ACN ・ 2022. 10. 7. 2:33 최철주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 해석)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p36-6,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2022 

 

현상적 자리를 포스터로 대신한 라캉적 현대 추상화는 형상의 자리를 구별할 수 있어서 그 형상을 해석하는 이면(裏面)의 의미를 구상한다. 그 형상은 다른 의미를 말하려고 사상적 구조로 한 그 의미와 유사한 색깔과 크기의 추상하지만 상상계에서 개념 미술의 추상적 의미는 실재와의 동일시하여서 외형적으로 오브제의 이미지와 추상적 의미를 동일한 주체로써 오브제의 이미지와 동일시되면서 내적으로 주체는 변형된 추상적 의미를 형성한다. 

이것은 형상의 추상적 의미를 가리키며, 그 형상은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서 변화된 형상이 음영으로 가려지는 추상된 형상의 디자인적 의미를 가리킨다.

그 의미는 타자의 욕망을 모방한 꽃을 상징하는 기호적 언어로 추상된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로 디자인된다. 

 

추상된 <최철주나팔꽃>에 타자의 욕망을 대리하는 형상을 디자인하여서 라캉의 오브제ɑ(루이 최철주 2022 뉴욕 전시 포스터 나팔꽃 p36-6) 으로서 추상적 오브제로서의 재현한다. 그것은 원근법적 시각체계의 기학적 도식에서는 시각체계가 은폐된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자리를 만들어냄으로서 무의식에서 드러난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각각이 다른 순간적인 응시로서의 오브제ɑ가 추상된다.

개념미술 추상된 라캉 오브제ɑ 는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로 전이 되어서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타자의 욕망을 존재로 한 조형성의 음영으로 오브제ɑ를 생성하고 의미적 존재 구조로서의 예다.

그 오브제ɑ에서 출현한 예술성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어서 타자의 욕망의 자율적 선택으로 한 조형적 가치를 담고 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나팔꽃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을 추상적 오브제의 존재 의미로 그 오브제를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으로 자리한다. 

그 자리에 피카소 이미지와 일치하는 라캉의 오브제ɑ로서 회화의 비실재적 시각 이미지의 차원을 넘어선다. 따라서 평면이든 입체든 무관한 응시영역으로한 라캉 이론체계에서 타자의 욕망으로 생성된 이미지를 추상한다.

 

이것은 실재의 주체에서 새로운 이미지와 개념으로 전이한 이미지이다. 그것의 이미지는 가상적이므로 실재적 이미지와 비교를 통해 실재적 이미지와는 다른 것을 인지하게 된다. 이때에 가상적 이미지는 실재로서의 형상 즉 <나팔꽃 윈도우>의 주체에서 분리된 욕망적 응시로써 보이는 실재로서의 오브제ɑ임을 깨닫게 한다.  /글. 미술평론가 최철주 (추상 화가 & 문화디자인박사)

 

   Conceptual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

 

-------------------------------------------------------------                                                                          

modern art pop abstract artist 13

Case of Modern Conceptual Abstract Art 13

 

Modern art Pop & Contemporary Conceptual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s Desire Concept Abstract Art Work Review & Concept Abstract Modern Art Criticism [13] Case of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 Artworks Critique, Abstract Design <morning glory window 2023-2> & Louis Choi Chul-joo Abstract Art Review: Choi Chul-joo Desire Concept Abstract Art Theory Presented & Famous Contemporary Painter, Contemporary Artists, Abstract Artists,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ists Criticize Works/ Contemporary Concept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s Desire Concept Art Work 'Morning Glory' Abstract Design: modern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2020.

 

Art Review: Media Art's Qí Báishí's "morning glory" and Media Art's Thread Painting; Contemporary artist Louis Chul-joo Choi’s "morning glory", 2020, Museum of Minoo media art museum

Qí Báishí's Media-art "morning glory", Still image(4, 10, 23, 30, 39sec), Collection of Minoo Media Art Museum,

 

Qí Báishí's "morning glory" is a simple, linear form that aligns the bright shade of light with the leaves and stems. He collects aesthetic results that affect humans so that the morning glory does not deviate from its actual shape. His paintings, "morning glory" consists of the effect of ink-and-washy tea, which sets flowers straight to the top of the stem. He gives a humorous touch to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allowing the morning glory to be distinguished as a living object. He added the movements of the flowers in an anomalous way to his painting of the morning glory. His painting of the morning glory is arranged with leaves, and the stem forms the entire composition. He equates the leaves and stems with the appearance of the morning glory tailored to the flowers, thus establishing a position that humans can understand. The joint of the stem falls into black ink and the stem connected to it is thin and cloudy, and overlaps with the space as an impression effect of black ink with no boundary line with the morning glory. And the shape of the leaves drawn by the difference in brightness of black ink is shaped and structured so that humans can rely on the shape of the morning glory.

 

Media art at the Minoo Media Art Museum has cast doubt on the production process by showing the process of dismantling and combining the completed works. Accordingly, Chul-joo Choi, a doctor of design at the Museum of Minoo media art museum redesigned the media art work and its image in the process of creating media art. Chul-joo Choi's media art <the morning glory> designs the place of flowers and sets the place of leaves and stems that depend on the shape of the flowers. Unlike the media art Qí Báishí's <the morning glory> which shows the process of painting flowers in the structure of stems and leaves in the entire image, the media art that designed the rest of the structure, starting with the flower of the morning glory is <the morning glory> by Chul-joo Choi, a doctor of design. He designs a flower that relies on a set being as a coincidence that black ink spreads. This is realised in the media art form of a computer and painting without the perspective of space.

 

Chul-joo Choi, Media-art; morning glory, Still-image (morning glory-4, -7, -15, -25, -35, -65, -75, -85, -95, -105)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 "morning glory", 2020. 

In the process of producing the original media art, which is mechanically reproduced here, the picture format is thread painting. This painting embroidery the volume of light in the process of facing objects and ideally depicts the shadow of objects. It is a linear art that emphasizes "one line" in a new painting process combining oriental embroidery and ink painting. In other words, the image of the line, which was stopped during the process of drawing the media art <morning glory> was drawn with thread and paint. 

 

In Kim Hong-seok's <Open and Closed> art review, art critic Louis Chul-joo Choi said the definition of a thread painting is "a trace of paint and yarn equivalent to the time remaining in the fabric, and it is exposed parts and margins." 

Also, the structure of the shape was called “a form of self-consciousness that embodies what he saw before he realized how to perceive things.” 

and the aesthetic value was called “a form of self-consciousness that embodies what he saw before he realized how to perceive things. The color of the shape reveals a hidden aesthetic value by giving time, not by marking, but by being considered the structure of the discoloured body.” in Thread Painting. 

This is different from the aesthetics of M-Duchamp conceptual art that does not decorate materials. 

 

Thread painting is a form of self-consciousness that has been implemented before realizing how things are perceived. The color of the shape does not indicate the distance of time, but shows the hidden aesthetic value as seen by the faded original formative structure. And beyond the literary character of conceptual art, it raises the formalities as a painting, paints the colors left behind, and ties them together with threads in a new formative structure. 

Construct a shape in which the color of the linear structure exists so that the shape as a knot that hides the color by inserting the structure of the color into the thread so that it can adapt to a particular color.

Therefore, "Thread Painting" is a painting of yarn and paint on a cloth seeking linear aesthetics that denies the excessive literary nature of conceptual art.

 

Qí Báishí's Media-art/  morning glory, Still image(39sec)/ Chul-joo Choi, Media-art: morning glory,

 

Thread Painting; <the morning glory> is an image drawn on a cloth-like material of an object made by custom. <the morning glory> is a method of drawing an image that is reversed from left to right by constructing a shape that looks like an image of the Lacan's objet on a cloth-like material. 

 

Therefore, his painting is a two-sided painting that does not distinguish the front and the back. To represent an image in terms of practical and cursory features to suit the subject. Here, painting as a object of change in customs is another image that appears to be a object. It disappears as a substance of a subject that is hidden and drawn in small pieces invisible from space. 

 

A small object shows a space that can actually be reversed through the shape's thought movement. This refers to the meaning of a shape in which, a small object defines a space that can actually be reversible and refers to the meaning of a feature that is obscured by the actual changed movement of the feature. 

 

Chul-joo Choi, morning glory e-002,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2020

 

It is the color of light and the shape of a material such as cloth, and the inevitability of an impressionable space determines the position of a object. And by stopping the light and the object of the place, it forms a structure of conventional painting. This is a space where you can stay with the inevitability of a stopped structure. Thus, the meaning of the actual structure of the picture where the shape has stopped is formed by the reverse idea movement. Its conscious meaning as a structure is just a small piece of space that finds its place properties of matter. This small piece coexists as a properties of matter in numerous spaces when it is a similar object. The position is inserted into several spaces by the meaning of the thought movement, where one phenomenon and other meanings intersect. This is a thread painting, <the morning glory> which was created by repeating another space as an thought movement in the space of positioning. 

 

The space here disappears and the morning glory turns into the color of light.

 

However, as a painting's meaning effect, it chooses a painting as the color of light on a fabric-like material or thread that has disappeared from the past space. Here, the painting distorts the image by changing the light into a line within a space that connects the surface of the morning glory with light.

 

Therefore, since the composition of the invisible preceding space cannot draw flowers, the beginning screen of the Media Art: <Qí Báishí, the morning glory> of Minoo Media Art Museum distinguishes the leading space by sketching stems and leaves and drawing flowers because the intro space is not the actual structure. Thread painting is a thread that depicts the shape of light that distinguishes objects in stationary media art. This is a thread painting limited to fabric in an empty space and the more you limit the habitual object to the shape, the more empty the space becomes, rather than the actual place, so it decorates the inner surface of the hidden cloth to find the meaning of the space as a small piece of artistic shape. As such, <the morning glory> is painted on cloth-like materials, forming an abstract spot with the inevitable spatiality of the object, thus gaining aesthetic value as a real habitual painting art. 

 

Louis Chul-joo Choi’s thread painting: morning glory B-06  still image / *Extended exhibition period: 2020.12.11- 2021.1.29, Museum of Minoo media art museum 

 

 

Louis Chul-joo Choi’s thread painting: morning glory B-06, 55X73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0 

 

Louis Chul-joo Choi’s thread painting: morning glory B-06

In addition, thread painting, in which still images as media art images are drawn according to timeliness by having originality based on image of media art and the shape of process media art, has another originality of the original work. This is because it is a context that is shown on the monitor and is a circle drawn with thread painting each image that has been stopped. It is a formative thread image with the same artistic meaning as painting, showing various exhibition formats.

 

The timeliness reversible from physicality in the place of exhibition space creates a place as the color of light and is recognized as the color of light in that place.

 

The space of abstract light can give a glimpse into the structure of a material object, but the place becomes the margin of space in which the subject of the object follows the change of its temporality. The margin is an abstract space, but as the subject of painting is drawn in what it says is the color of reversible light, it creates a place for the object in the margin. This is the object position determined by the inevitability of the symmetrical space so that the painting matches the image of the light of the space against the object. The space of the image tailored to the target is a structure of a painting that creates a separate space that connects the gap in the form of cloth-like material, and draws the color of light by stitching several empty spaces and margins. The image depends on the color and shape determined by the object location. Thus, the color of the image embellishes the reality of conventional universality facing the object with the color of light. The dark space in contrast to the light in this decorated shape is a shadow that was stopped in one place and looked at. Here, as the real object, color is a fragmented figure of the enlightened custom seen as a gaze. 

 

A painting was made by repeating a picture of the image of a enlightened object, which stopped in a customary place of life, as a color of light, and the color of the reflective margin, which is difficult to distinguish, on a cloth-like material. Color-painted paintings here unravel the existence of reality as the shape of the color when enlightened by custom or found in place. 

However, the empty space in the margin cannot reproduce the timeliness, so it seems to be a color that suits the subject of the object. In contrast to the color of light, <the morning glory> which depicts the shape of a cloth-like thread, captures the familiarity of the customs as the inevitability of the past space. / Writing. Louis Chul-joo Choi, head of the Academic and Arts Research Division at the Museum of Minoo media art museum (Contemporary artist & media art painter)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