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Review of Modern Art Design Methods [2/ 14~16] Examples of Modern Art Design Methods through Abstract Art Works by Contemporary Artist and Cartoonist Louis Choi Chul-joo's Abstract Concept, Modern Art News Sketch & Abstraction : Pop Art Abstract Painting

Art Design Method

by Art Review 2025. 2. 2. 19:34

본문

Review of Modern Art Design Methods [2/ 14~16] Examples of Modern Art Design Methods through Abstract Art Works by Contemporary Artist and Cartoonist Louis Choi Chul-joo's Abstract Concept, Modern Art News Sketch & Abstraction : Pop Art Abstract Painting & Cartoon, Korea News Cartoon Review with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joo's treacherous conceptual art = Review of Korean News Cartoon [62] Shares that have resulted in a stock price violation should not be sold.(2018. 12. 16.) / Reporter Choi Chul-joo’s Cartoon Review

 

Famous contemporary artist, modern painter, abstract painter & contemporary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s treacherous conceptual art abstraction 'Morning Glory' & 'Bamboo Forest' pop art abstraction design / Webtoon News Cartoonist &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joo Cartoon Design News 

 

 Choi Chul-joo's Concept of Desire Formula: In the concept of Choi Chul-joo's desire,  

mathematical desire as an axiom of logic in the concept of desire results in reality as a concrete phenomenon rather than based on the external structure of the linguistic meaning through abstract design. Therefore, the rendering of the desire structure revealed by abstract encounter with reality at the intersection of desire outside the window applies the mathematical desire concept abstract design, or the image of the desire concept, to the Choi Chul-joo desire formula, and on March 1, 2022, morning glory appears as a flat real image as the subject of desire as a reversible shade of light in the Flushing Town Hall (New York) exhibition./ The image of desire, which applies Choi Chul-joo's desire formula D(I...I')d=I(D...D')i to 'morning glory', connects the concept of desire with the background of 'morning glory' as an image to create a landscape by floating morning glory in the sky. In addition, in <morning glory>, the desire formula "D(I...I')d=I(D...D')i" is substituted, the connection effect between the concept of desire and the "morning glory" as desire image shades the concept of desire in the reversible shadow structure by setting the object as the concept of desire image of women by the "morning glory". In other words, the image of desire (I) is the structure of desire (D) because desire (D) is repeated (I...I') in several images (D...D'), and the image of art behavior or desire image(I) appears as the concept of desire(i). 

 

 Choi Chul-joo's Desire The design process of abstract concepts1. The concept of desire is abstracted from the perspective of an image to the outside of reality, and the image of reality as an object of abstraction is designed as the correlation between reality and reality. This is the design process 1 of Choi Chul-joo's concept of abstraction of desire. This does not presuppose a causal relationship with the real world, but rather results in an abstract concept of desire as a correlation with reality to escape the misunderstanding that transfers from an abstract concept to a real structure. 2. The scope of showing the concept of desire is created and located by omitting the actual size of the abstract concept as a shade of the concept of desire originating from the actual image. In addition, Choi Chul-joo's conceptual process 2 follows the process of decorating an object with a color of universal reality suitable for custom in order to have aesthetic value suitable for its position as a single image. This creates an abstraction that contrasts with the past and desire, in which the aesthetic structure hidden by realistic colors is divided by clouds and obscured by shaded light, obscuring the abstract concept in the actual image. 3. The subject who painted abstraction realizes the reality that symbolizes the concept of desire, and the unconscious realizes abstract desire as a conscious phenomenon of image. Desire is an abstract image realized as a conscious phenomenon of an image, and the unconscious structure is process 3 of designing an abstract art concept of desire that repeatedly designs desire that combines line and color in thoughts but is not conscious of unconscious behavior. 4. The unconsciously abstracted concept of desire is a piece of reality in which the object of reality is not seen as a reversible shade of light, concealing reality as a shadow and showing another real image as a video. This is the process 4 of designing an abstract concept of desire formed by combining the space of desire into a reversible light structure through the conscious movement of planar monochromatic painting carved into reality.  

 

 The Design Results of Choi Chul-joo's Desire Abstract Concept: Choi Chul-joo Desire Abstract Concept Design's Linguistic Meaning Results: Although the object that is obsessed with the desire for others is passive, it is possible to actively practice one's desires through the sympathizer as the subject of desire, and the sympathizer who sympathizes with the desires of others as the subject can practice with the same desire. As a subject, a person who sympathizes with or accepts the desires of others becomes the same desire and becomes another subject of execution. Here, the sympathizer who sympathizes with the subject of the other's desire tries to generalize it as another object of desire that acts like a victor of war. However, when desire as an act overshadowed by reversible light is not generalized as a public act, the subject of inappropriate desire and the sympathizer antagonize the subject who practiced it according to the other's general desire.   

 

 Object rendering of the concept of desire is 1. a pop art image that renders unconscious desire as an existential reality by dividing the same concept of desire as the event image into unconscious and real images as an object. Therefore, the subject who speaks linguistic meaning actually represents abstraction, the truth value of the concept of desire, which is an expressive aesthetic structure that specifies the viewing effect of colloquial language and event video broadcasting as an act of speech enunciation that depends on the news. 2. As the truth value of  the concept of desire in visual images is an open system, and numerous visual images are transmitted to others through a pluralistic visual system. Abstract images, which are the true values of the concept of desire, attract attention because they have universality as real images expressed by the desires of others. In other words, the object exposed to the abstract desires of others functions as a desire to exchange the same aesthetic image as the concept of desire of others through the diachronic function of pop art applied as a work of art. 3. The truth value of the concept of desire in a linguistic sense in which the abstract image of the concept of desire and reality are the same, represents the structure of desire, and the reality of the abstract concept of desire is a real image, which is the causal structure of desire, and creates a structure of desire by forming a semantic relationship with contradictory desire. Like Kant, this is a dual structure up to modern art, and it encompasses mythical objects in the same structure as humans, and the antinomic desire structure as a single structure.  4. an object of the concept of desire rendered in abstraction: The object rendering of the concept of desire renders the object as an event image, which is the same rational object as the linguistic meaning of the desire structure through the gaze of the rational subject, is recognized as a real image that the subject cannot see.  Additionally, other objects of desire are continuously represented by real images that attempt to fill the deficiency of desire. The pond, which reflects present desire as an object to abstract desire, presents a desire structure as a reality, which is an object to abstract desire, but it returns the cause of desire as a real image to an object as an event image, free from the imperfect abstraction that lacks desire that is subjugated to social visibility that has been concealed and deviated from lack through real images.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deficiency and divided desire is hidden through real images of abstract desires, and contradictory desires subordinate to deviated social visibility become the cause of desire and become the objects of real images. In addition, object rendering of other desires is continuously expressed as a real image trying to fill the deficiency of desire. The rendering of an object that reflects the present desire as an object of abstract desire presents the structure of desire as reality, which is the object of abstract desire, but it returns the cause of desire as a real image to an object as an event image, away from the imperfect abstract lacking desire.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deficiency and divided desire is hidden through the real image of abstract desire, and contradictory desires subordinate to deviated social visibility become the cause of desire, resulting in abstraction as a real image.

 

Webtoon News Cartoonist Choi Chuljoo's One-Sentence Cartoon Review & Abstract Artist Louis Choi Chul-joo Pop Art Abstract Painting design 

Cartoon designer Choi Chul-joo, contemporary conceptual art pop art work & Webtoon design historical painter

Abstract painting as a treacherous conceptual art refers to abstract painting as a realistic structure in art. Since the conceptual meaning that exists in the place of the realistic shape can be divided into cartoon review images, abstract painting is drawn through the shadow of reversible light that interprets others abstract desires into images. In other words, the emergence of the concept of desire is a momentary encounter with the concept of desire in a straight form of non-realistic image generated by reversible light. 

 

The image of non-realism, which emerged as the concept of desire, is a distorted form of similar factual structure. This is because the place and shape of the real form are not the same.

 

Realistic structures reflect the shape by being distorted by light.  It is the outline and shadow that are determined by the shade of light that reveals its shape. Realistic abstractions as treacherous conceptual art take note of this and shape realistic concepts.

(Choi Chul-joo's Conceptual Art Theory on Realistic Abstract Painting)

 

Chul-joo Choi, <Shares that have resulted in a stock price violation should not be sold>,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News Cartoon: Cartoonist & freelance reporter Choi Chul-joo's current affairs cartoon review one sentence - Cartoon review: cartoon designer Choi Chul-joo's review news

■ Cartoonist Choi Chul-joo, one line of current affairs cartoon Review: 

. Shares that have resulted in a stock price violation should not be sold.

. Il ne faut pas vendre les actions qui ont fait enfler le cours des actions.

 

Contemporary Art Work: Abstract Painting with Treacherous Conceptual Art: Louis Chul-joo Choi, Shares that have resulted in a stock price violation should not be sold 2,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Reinterpreting cartoon news review, which uses modern art abstract painting as treacherous conceptual art, as a conceptual artist's work

 

Desire Concept Realistic Abstract Work: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P23-6-Shares that have resulted in a stock price violation should not be sold 3,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 Lacan's imaginary world and metamorphic formula f(S...)... By repeatedly applying S'S=˜S(-)s, formability is embodied in a reversible shade of light to the image of the work to acquire aesthetic value and its meaning appears

 

Background image of an artist's artwork: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P23-2,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Louis Chul-joo Choi, Abstract Painting with Treacherous Conceptual Art: Louis Chul-joo Choi, Shares that have resulted in a stock price violation should not be sold 3,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2019  [The interpretation of words in a cartoon news ː l’interprétation du mot dans une nouvelle caricature] ■ Contemporary Art Korean News Review: Contemporary Art News Sketch Cartoon & Abstraction [2] Pop Art Abstract Painting & Cartoon / Reporter Choi Chul-joo’s Cartoon Review / Choi Chul-joo, a current affairs critic, was a reporter at the Ministry of Culture of the News Busan Internet Newspaper. He is a cultural design critic and abstract artist who paints Current affairs cartoon cartoons News and abstract paintings in contemporary :art works and webtoons. think about_ penser, Profit_ Bénéfices, not_ ne pas, move_ remuer, register stocks on the stock exchange._ l’enregistrement des actions sur la bourse, think of a profit_ l’idée d’un profit, keep one's think_ garder ses idées, ▶Samsung BioLogics, decision to keep listed and search by prosecutors._ Samsung BioLogique, Décisions de conserver la liste et la recherche par les procureurs. 

 

 

-------------------------------------------------------------                                                          

Contemporary Art Design Method 

contemporary art design method example 14

 

Review of Contemporary Art Design Methods [14] Examples of Modern Art Design Methods through Abstract Art Works by Contemporary Artist and Cartoonist Louis Choi Chul-joo's Abstract Concept, Modern Art News Sketch & Abstraction : Cartoon Review Pop Art Abstract Design5 : Modern abstract artist Louis Chuljoo Choi's <Morning glory window 2023-3>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window 2023-3> 

 

 

추상화 미술평론5: 한국화(한국 근대부터의 한국화)/ 현대 미술가, 문화평론가 & 미술평론가 최철주 미술평론: 유명한 화가, 한국 화가, 현대 화가, 현대미술가 & 한국 현대 미술평론가 최철주 현대미술 작품 팝아트 신작읽기 The artwork posted on Facebook: 미디어 아티스트, 현대미술가, 개념미술가, 현대미술 작가, 팝 아티스트 , 현대 설치미술가 & 추상 화가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3,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라캉 개념 추상화 ■디자인 프로세스/ 추상화 <최철주 나팔꽃>에서 라캉의 미술 이론을 그 추상화에 연쇄하여서 기표 이미지를 기의 이미지로 전환하고자 라캉의 미술 이론을 형식화한다. 이것은 라캉의 상상계와 환유공식을 반복 적용하여서 타자의 욕망을 회화에 발현하는 의미를 가지며, 라캉미술이론을 회화에 적용한 결과로서 타자의 욕망을 조형미에 접근하는 가치를 얻는다.

 

■ 라캉 개념/ <최철주 나팔꽃>은 주제의 대상이 아니고 타자의 욕망 공간적 배경이다. 하늘처럼 일관된 삶의 공간과 동일하다. 그 삶의 공간을 대리하는 만평과 팝아트에 연결하지만 비평하고 판단하지 않고, 사건의 사진으로 실재를 뉴스로 재현한다. 그리고 상징하는 대상의 실재를 타자의 욕망으로 개념화하는 효과는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구조화하여서 개념을 미술한다.

 

■ 추상/ 라캉 개념으로 미술한 추상화 <최철주 나팔꽃>에 라캉의 환상공식($◇ɑ)의 소쉬르 연산식에 대입하여서 병아리가 상상하는 닭으로 한 타자의 욕망은 쾌락과 성적충동의 만족(Jouissance)과 함께 배경의 나팔꽃을 잡으려는 빗금친 기의(s(ɑ/))에서 분열된 주체($◇D)는 거세(castration)에 도달하여서 시각체계에서 보이는 병아리가 상상하는 비일관성을 음영으로 은폐한 추상화 <최철주 나팔꽃>를 스크린으로 한 이미지를 보인다  * 라캉적 개념 추상화 최철주미술이론 ACN ・ 2023. 6. 17. 21:30

 

현대 추상화 작품: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023-3,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추상의 의미가 각기 다른 이미지들을 다른 시점에서 그려서 한 화면에 집결시켜서 투시법에서 어긋나는 혁명적인 그림의 형식을 구성한 것이 라캉적 추상화 디자인 방식이다. 이것은 낭만주의 화가들이 그림을 그렸던 방식의 매너리즘을 거부한 새로운 시도다. 즉 낭만주의 회화에서 투사된 빛의 피사체의 자리를 존재의 자리로 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나팔꽃> 추상화로 근대미술과의 결별하면서 현대미술의 새로운 양식을 추구한다.    현대미술 최철주 <나팔꽃> 추상화 해석

 

비사실적 실재의 형상을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루이 최철주, 창문 밖에 나팔꽃)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의 자리를 드러낸 추상적 이미지의 오브제ɑ를 보인다.

 

그 오브제ɑ 는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나팔꽃 윈도우>는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공용이 화석된 긴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어떤 형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하나의 자리로서 전시 포스터 형상의 실재가 변화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그 실재의 형상을 맟춘다. 그 형상을 이룬 빛의 움직임에서 소리를 가려내는 추상화 <나팔꽃 윈도우>의 개념 즉 오브제ɑ 다. (추상화가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개념: 최철주현대미술이론/ ACN ・ 2023. 6. 19. 23:08 )

 

라캉적 개념 미술로 한 <morning glory window 2023-3> 은 라캉적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추상적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보는 관점에 따라 실재와 비실재에 대한 예술론적 담론이 이어지고 있다. 실재와 비실재가 오브제를 재현하는 가시적 이미지로서 선택할 수 없으며 오브제를 실제의 이미지를 표현하는 회화적 이미지는 비실재로서의 이미지로 규명되었다. 따라서 오브제에서 실재를 찾는 방법은 라캉의 오브제ɑ와 유사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한 왜상적 이미지로서의 <나팔꽃> 추상화로 드러내는 것이다. 

이것은 구상적 형태로서 동일한 의미의 구조로 한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추상이지만 그 형상이 다른 동일한 의미로서의 추상화는 유사한 색깔과 크기가 다른 사상적 비형상의 존재로서 실재하는 비사실적이기 때문이다. 그 존재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이미지로서 <나팔꽃> 전시 포스터 이미지다. 이것은 개념을 설치 미술로 추상화 한다. 

 

개념미술 미술가 작품 : Louis hoi Chul-joo, morning glory poster33-4,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 2022/ 라캉적 개념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기호화한 오브제 추상 디자인

 

실제적 <최철주 나팔꽃> 형상과 응시적 형상에서 팝아트 작품<morning glory p33-4> 주제에 어울리는 피상(皮相)적 면으로 이미지가 음영되어서 표상한다. 

여기서 풍습의 변화 대상으로 그림을 그리는 것은 하나의 대상으로 보이는 또 다른 이미지다. 그것은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작은 조각으로 그려진 대상의 물질로 감추어지고 사라진다. 

그 대상의 작은 조각은 단색화 하여서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공간을 보인다. 그리고 또 다른 실재로서의 오브제ɑ가 어떻게 드러나는 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 추상화에서 원근법적 시각체계로 보이는 이미지와 함께 얼룩 이미지 즉 원근법을 역전시킨 왜상적 이미지로 보인다. 

 

추상 공간의 <최철주 나팔꽃 P33-4> 자리를 더 이상 포스터로 명시하지않고 라캉의 “해석의 네 방위(É=Jacques Marie Émile Lacan, Écrits, Seuil, 1977, 53)”에 적용한다면 상상계로서 이미지ⓐ ('utre)와 말(moi) a의 선과 상징계로서 해석A (utre)와 그림(Es) S의 선을 교차하는 대각선 위치에 둠으로써 회화 작품을 '해석의 네 방위(The quadruple)'로 해석한다.

여기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거울이론을 통해 실재를 드러내는 것은 유아가 거울에 비친 기표적 이미지를 상상계 이미지ⓐ와 동일시하게 상상계에서부터 시작된다. 주체로써 기표적 이미지가 자신이 아닌 것을 인지하면서 기표의 상징적 이미지와 실재와의 분리를 통해 상징계로서 해석A (utre)된 추상화로 전이한다. 그 추상화 이미지와 실재가 분열을 통해 실재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실재로서 기표적 이미지는 왜상적 이미지로 드러나지만 비실재로서 실재와의 어긋난 만남 즉 추상화 다. (ACN. 2022.10.14 '라캉 해석의 네 방위'에 대한 최철주 해석) 

 

개념 미술로 한 <morning glory poster33-4> 는 전시 포스터 의미로서의 라캉적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추상적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로 전이한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구상적 형태로서 동일한 의미의 구조로 한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추상이지만 그 형상이 다른 동일한 의미로서의 추상화는 유사한 색깔과 크기가 다른 사상적 비형상의 존재로서 실재하는 비사실적이기 때문이다.

그 존재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전시 포스터 개념 미술의 추상화 의미를 말한다.

 

추상화 의미의 현상적 자리를 전시 포스터로 대신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형상의 자리를 구별할 수 있어서 그 형상을 해석하는 이면(裏面)의 의미를 구상한다. 그 형상은 다른 의미를 말하려고 사상적 구조로 한 그 의미와 유사한 색깔과 크기의 추상하지만 상상계에서 개념 미술의 추상적 의미는 실재와의 동일시하여서 외형적으로 오브제의 이미지와 추상적 의미를 동일한 주체로써 오브제의 이미지와 동일시되면서 내적으로 주체는 변형된 추상적 의미를 형성한다. 이것은 형상의 추상적 의미를 가리키며, 그 형상은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서 변화된 형상이 음영으로 가려지는 추상된 형상의 디자인적 의미를 가리킨다.

그 의미는 타자의 욕망<morning glory poster33-4> 를 모방한 꽃을 상징하는 기호적 언어로 개념적으로 추상된 <최철주 나팔꽃>으로 디자인된다. 

 

추상된 <최철주 나팔꽃>에 타자의 욕망을 대리하는 형상을 디자인하여서 라캉의 오브제ɑ로서 추상적 오브제로서의 재현한다. 그것은 원근법적 시각체계의 기학적 도식에서는 시각체계가 은폐된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자리를 만들어냄으로서 무의식에서 드러난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각각이 다른 순간적인 응시로서의 오브제ɑ가 추상된다.

이렇게 라캉적 개념미술로 추상된 오브제ɑ는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타자의 욕망을 존재로 개념적 조형성의 음영으로 오브제ɑ를 생성하고 의미로서 존재한다.

그 의미적 존재로서 오브제ɑ는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어서 타자의 욕망의 자율적 선택으로 한 조형적 가치를 담고 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을 추상적 오브제의 존재 의미로 그 오브제를 실제 가역할 수 있는 공간에 추상하여서 자리한다.

 

<최철주 나팔꽃> 은 수학적 개념과 철학적으로 의미화한 언어적 해석을 넘어서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여기서 라캉적 회화는 임의적인 철학성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응시로서 순간적으로 이성적 지각할 수 있는 회화성을 말한다. (ACN ・ 2022. 4. 20. / 유아로서 병아리가 본 타자의 욕망 <나팔꽃> New York Exhibition 뉴욕 전시 도슨트1)

 

라캉적 디자인방법론(Lacan's design methodology)으로 한 회화 디자인에 대한 라캉적 도슨트: 라캉적 디자이너, 디자인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디자인방법론: 현대미술 추상 한국화 작품으로서 <morning glory poster33-4>에 라캉의 환유공식 f(S...S')S=˜ S (-)s 적용하여서 가역적 빛으로 생성한 페인팅 <morning glory window 2023-3>을 중첩한다. 그리고 언어적 은유 이미지를 연쇄하여서 라캉의 환유공식을 재적용하여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한 공간의 또 다른 자리에서 거울에 반사된 현상적 개념적 자리를 정하여 <morning glory window 2023-3> 으로 추상화 한다. 

이것은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에서의 포스터로 전이 하여서 라캉적 오브제를 실제화함에 따라 포스터가 아닌 실재의 비사실적 현대 추상화가 된다.

 

■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에서 라캉의 미술 이론을 추상화에 연쇄하여서 기표 이미지를 기의 이미지로 전환하고자 라캉의 미술 이론을 형식화한다. 이것은 라캉의 상상계와 환유공식을 반복 적용하여서 타자의 욕망을 회화에 발현하는 의미를 가지며, 라캉미술이론을 회화에 적용한 결과로서 타자의 욕망을 조형미에 접근하는 가치를 얻는다.

 

■  <최철주 나팔꽃>은 주제의 대상이 아니고 타자의 욕망 공간적 배경이다. 하늘처럼 일관된 삶의 공간과 동일하다. 그 삶의 공간을 대리하는 만평과 팝아트에 연결하지만 비평하고 판단하지 않고, 사건의 사진으로 실재를 뉴스로 재현한다. 그리고 상징하는 대상의 실재를 타자의 욕망으로 개념화하는 효과는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구조화하여서 개념을 미술한다.

이것은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에서 포스터 이미지에 의미가 미출현하는 라캉의 환상공식($◇ɑ)의 소쉬르 연산식에 대입하여서 병아리가 상상하는 닭으로 한 타자의 욕망은 쾌락과 성적충동의 만족(Jouissance)과 함께 배경의 나팔꽃을 잡으려는 빗금친 기의(s(ɑ/))에서 분열된 주체($◇D)는 거세(castration)에 도달한다. 이것은 시각체계에서 보이는 병아리가 상상하는 비일관성을 음영으로 은폐한 나팔꽃을 스크린으로 한 이미지를 보인다.(ACN ・ 2021. 12. 29. 0:01 라캉의 환상공식($◇ɑ)

 

현대 추상화 작품: Louis Choi Chul-joo,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ndow 2023-3,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 라캉의 상상계와 환유공식 f(S...S')S=˜ S (-)s 을 반복 적용하여서 타자의 욕망을 작품 이미지에 조형성을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구현하여서 미적 가치를 획득하고 환상공식($◇ɑ 의 소쉬르 연산식)에 대입해서 그 의미를 출현한다. 

 

비사실적 실재의 형상을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루이 최철주, 창문 밖에 나팔꽃)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의 자리를 드러낸 추상적 이미지의 오브제ɑ를 보인다.

그 오브제ɑ 는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나팔꽃 윈도우>는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공용이 화석된 긴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어떤 형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하나의 자리로서 전시 포스터 형상의 실재가 변화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소리가 멈춘 그 실재의 형상을 맟춘다. 그 형상을 이룬 이제의 빛과 타자의 욕망하는 움직임에서의 또 다른 소리를 동일시하는 추상화 <나팔꽃 윈도우>의 개념 즉 오브제ɑ 다. (추상화가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개념: 최철주현대미술이론 / ACN ・ 2023. 6. 19. 23:08 )

 

형상의 환유는 기표이미지와 기표이미지의 구조를 연결하여서 반복하여 적용한 왜상적 이미지 <morning glory window 2023-3> 은 추상적 표상 이미지 오브제를 재현하는 음영적 도식으로 한 시각체계를 은폐하고 있으나,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적 관점의 가역적 빛의 음영에서 드러난 사실적 형상을 순간적인 응시로서 보이는 추상화 오브제ɑ다.

추상화로서 오브제ɑ<morning glory window 2023-3은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라캉적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타자의 욕망을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생성하여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에서 드러낸 사실적 이미지가 순간적 왜곡된 타자의 욕망적 이미지를 의미적 구조으로 비실재의 사실적 추상화의 개념 예술성을 드러낸다. 

이것은 수학적 개념과 철학적으로 의미화한 언어적 해석을 넘어서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여기서 라캉적 회화는 임의적인 철학성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응시로서 순간적으로 이성적 지각할 수 있는 회화성을 말한다. (ACN ・ 2022. 4. 20. / 유아로서 병아리가 본 타자의 욕망 <나팔꽃> New York Exhibition 뉴욕 전시 도슨트1)

 

이성적 회화성에서 시간성에 따른 왜상적 배경을 타자의 욕망으로 경험할 수 있도록 나팔꽃 형상의 틀을 객관적 실재와 표상적 개념미술과는 차이가 있다. 그 오브제는 상징계에서 전이된 실재에서 분리된 오브제ɑ를 실재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상징계 실재에서 환상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고 그 오브제ɑ가 순간적 창조성과 자율적 추상성으로 한 예술적 의미를 담는다.

따라서 라캉적 개념으로 한 환상적인 사실적 회화다. 그러나 추상성으로 한 라캉의 상상계에서의 실체적 형상인 기표로서 예술적 형상의 실체는 사라지고 결과로서의 존재적 상징의 기의로 한 비실재적 형상으로 환유적 추상으로 고착된다. 

이것은 순간적 형상으로 보이는 현상적 추상을 본뜬 추상화다. 그 추상화에서 현상적 이미지가 은유성을 띠지만 그것이 비실재적 이미지라고 가정할 때 실재는 상사적으로 실재를 재현한 현상적 이미지에서 존재한다. 

여기서 현상적 이미지와 실재가 분열을 통해 순간적으로 라캉적 개념과 실재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그 실재로서의 기표적 이미지는 왜상적 이미지로 드러나지만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한 비실재로서의 라캉적 개념 추상화와의 어긋난 만남이다 이것은 추상적 오브제를 재현하는 원근법적 시각체계의 기학적 도식에서는 시각체계는 은폐하고 있으나,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적 관점의 응시로서의 오브제는 순간적으로 드러낸다.

 

회화로서 오브제ɑ가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라캉적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존재로서 오브제ɑ를 생성하여 의미적 구조의 예술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 오브제ɑ에서 출현한 자율적 예술성은 전체가 비실재로서의 가상적 이미지를 드러내면서 회화가 가지는 공간의 영역과 매너리즘적 형식을 소거시킨다.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어서 오브제ɑ가 창조성과 타자의 욕망의 자율성으로 한 예술적 의미를 담고 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육화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인 <나팔꽃 윈도우>는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추상적 오브제의 의미를 가리키며, 그 오브제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윈도우 속에 보이면서 형상의 실재가 추상된 타자의 욕망에 가려지는 추상적 풍경 형상의 의미를 말한다.

 

상상계에서 시작한 형상은 유아가 거울에 비친 상을 보고 만족하는 것처럼 실재화한 경험과 관계없이 상상적 인식에서 비롯된다. 서로 다른 형태로써 각각의 기표를 인식하지 못함으로써 상상적 인식으로 인한 오인을 만들어 낸다. 이러한 오인은 서로 다른 기표 간에 유사성을 통해서만 즉 사실적 형태로서 상상계의 보이는 은유가 가능한 것임을 말해준다. 사실적 형상의 기표가 갖고 있는 각각의 형태는 기표의 차이성에 따라 동일화 과정에서 유아는 타인과의 관계에서 자신을 통제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나팔꽃 윈도우>는 모방적인 방식 안에서 사실적 형상 기표의 차이성을 연쇄하여서 타자의 욕망을 추상한다.  /글. 미술평론가 최철주 (추상화가 & 문화디자인박사)

 

 

-------------------------------------------------------------                                                          

Contemporary Art Design Method 

contemporary art design method example 15

 

Review of Contemporary Art Design Methods [15] Examples of Modern Art Design Methods through Abstract Art Works by Contemporary Artist and Cartoonist Louis Choi Chul-joo's Abstract Concept, Modern Art News Sketch & Abstraction : Exhibition of Modern abstract artist Louis Chul-joo Choi's "morning glory window" with the image of Lacan's object ɑ and Picasso's Anamorphosis, 20230704~20230714 Haeundae-gu Office Gallery, Busan.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개인전: 해운대구청 갤러리, 부산 / Louis Choi Chuljoo's <morning glory window> Exhibition: at the Haeundae-gu Office Gallery, Busan.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개인전: 해운대구청 갤러리, 부산 / Louis Choi Chuljoo's <morning glory window> Exhibition: at the Haeundae-gu Office Gallery, Busan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개인전: 해운대구청 갤러리, 부산 / Louis Choi Chuljoo's <morning glory window> Exhibition: at the Haeundae-gu Office Gallery, Busan. 

 

라캉 개념 추상화  ■디자인 프로세스/ 추상화 <나팔꽃 윈도우>에서 라캉의 미술 이론을 그 추상화에 연쇄하여서 기표 이미지를 기의 이미지로 전환하고자 라캉의 미술 이론을 형식화한다. 이것은 라캉의 상상계와 환유공식을 반복 적용하여서 타자의 욕망을 회화에 발현하는 의미를 가지며, 라캉미술이론을 회화에 적용한 결과로서 타자의 욕망을 조형미에 접근하는 가치를 얻는다.

 

■ 라캉 개념/  <나팔꽃 윈도우>은 주제의 대상이 아니고 타자의 욕망 공간적 배경이다. 하늘처럼 일관된 삶의 공간과 동일하다. 그 삶의 공간을 대리하는 만평과 팝아트에 연결하지만 비평하고 판단하지 않고, 사건의 사진으로 실재를 뉴스로 재현하여서 삶을 조명한다. 그리고 상징하는 삶의 대상을 나팔꽃 풍경위에 실재를 타자의 욕망으로 개념화하고 그 효과는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구조화하여서 개념을 추상한다.

■ 추상/  라캉 개념으로 추상한 추상화 <최철주 나팔꽃>에 라캉의 환상공식($◇ɑ)의 소쉬르 연산식에 대입하여서 병아리가 상상하는 닭으로 한 타자의 욕망은 쾌락과 성적충동의 만족(Jouissance)과 함께 배경의 나팔꽃을 잡으려는 빗금친 기의(s(ɑ/))에서 분열된 주체($◇D)는 거세(castration)에 도달하여서 시각체계에서 보이는 병아리가 상상하는 비일관성을 음영으로 은폐한 추상을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구성한 <나팔꽃 윈도우>를 스크린 이미지로 보인다  

 

 

 <최철주 나팔꽃>을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는 형식으로 한 쓰레드 페인팅의 결과로서의 이미지가 <나팔꽃 윈도우>다. 즉 교차된 실로 된 천에 음영으로 한 형태와 천의 작은 구멍에서 비취는 반사광으로 한 가역적 빛으로 한 비실재적 회화의 자리를 넓힌 그림을 라캉의 오브제ɑ와 피카소의 아나몰포시스 이미지을 분리하여서 여러개의 왜상적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사실적으로 중첩한 것이 <나팔꽃 윈도우> 다. 

 

 

<나팔꽃 윈도우>은 20230704~20230714 해운대구청 갤러리전시 전시 <나팔꽃 윈도우>에서 현대 이미지 설치 미술가 & 추상 화가 루이 최철주가 공시했다. 그것의 과정을 예로써 2023년7월3일에 해운대구청 갤러리에서 <나팔꽃 윈도우> 설치 Aaction painting을 했다.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설치 Aaction painting, 해운대구청 갤러리, 2023.7.3.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설치 Aaction painting, 해운대구청 갤러리, 2023.7.3.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4 & 5> 개인전: 해운대구청 갤러리, 부산 / Louis Choi Chuljoo's <morning glory window 4 & 5> Exhibition: at the Haeundae-gu Office Gallery, Busan.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2-g, 148X179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2

 

개념 추상화 <morning glory>는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라캉의 오브제ɑ다 즉 루이 최철주 <morning glory>의 개념미술은 라캉의 미술이론에 귀속된 추상적 관념이다. 

추상화가 루이 최철주의 현대 개념미술은 타자의 욕망을 주제로 한 비실재로서 실제적 조형성의 흔적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개념을 추상하는 미술이다. 이것은 초기 개념미술의 개념으로 한 회화성의 복귀 즉 실재의 자리를 대리하는 타자의 욕망을 추상하는 추상화다.

따라서 배반적 개념미술가로서 추상 화가 루이 최철주 <morning glory>는현대 회화를 개념 추상화로 한 디자인 컨셉으로 제작하여서 이것을 라캉적 의미 구조의 형상으로 추상 디자인한다 즉 회화의 개념 추상 이미지를 기호화하여서 그 회화를 디자인한 추상화다. (추상화 <morning glory>에 관한 개념미술이론/ 최철주 개념미술이론)

그 추상 공간의 자리를 더 이상 포스터로 명시하지않고 라캉의 “해석의 네 방위(É=Jacques Marie Émile Lacan, Écrits, Seuil, 1977, 53)”에 'morning glory 2022-g'를 적용한다면 상상계로서 이미지ⓐ ('utre)와 말(moi) a의 선과 상징계로서 해석A (utre)와 그림(Es) S의 선을 교차하는 대각선 위치에 둠으로써 회화 작품을 '해석의 네 방위(The quadruple)'로 해석한다.

여기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거울이론을 통해 실재를 드러내는 것은 유아가 거울에 비친 기표적 이미지를 상상계 이미지ⓐ와 동일시하게 상상계에서부터 시작된다. 주체로써 기표적 이미지가 자신이 아닌 것을 인지하면서 기표의 상징적 이미지와 실재와의 분리를 통해 상징계로서 해석A (utre)된 추상화로 전이한다. 그 추상화 이미지와 실재가 분열을 통해 실재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실재로서 기표적 이미지는 왜상적 이미지로 드러나지만 비실재로서 실재와의 어긋난 만남 즉 추상화 다. (ACN. 2022.10.14 '라캉 해석의 네 방위'에 대한 최철주 해석)

 

그 추상화는 타자의 욕망적 형상이 실재와의 어긋난 만남으로 이루어진 형상의 실제가 추상된 타자의 욕망에 가려지는 추상적 풍경 형상의 의미를 대리하는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보인다. 그 형상은 추상적 음영으로 생성된 타자의 욕망이 선택한 실제의 구조와의 교차점이다. 

이것은 비실재의 사실적 구조로 한 전체의 실제 형상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디자인한 타자의 욕망이 응시로 보이는 교차점에 순간적으로 추상화된 형상이 <morning glory 2022-g> 다.

 

추상된 형상을 응시하는 시니피앙은 새로운 주체를 받아드리기 위해 절단한다. 이렇게 절단된 주체는 표상하는 형상으로 고착된다. 회화 속에서 거울에 비친 공간은 가역적 빛으로 한 회화의 음영에서 드러난 물리적 공간 속에 또 하나의 공간 즉 회화의 전체 장면을 보는 시점에서 볼 수 없는 ‘응시’로써 보이는 실재이다. 이러한 응시로써 보이는 실재를 재현하기 위해 그림에 화가는 거울을 소재를 피사체로 추상한다. 그 피사체의 주체는 <morning glory 2022-g>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응시로써 드러낸 오브제 즉 실재이다. 그러나 추상 화가로서 타자의 욕망을 사실적 오브제로 드러냈지만 주체로서의 오브제는 인지적 주체가 될 수 없다. 이것은 실재의 자리가 부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재와 비실재의 이미지를 동일한 공간으로 재현하려고 개념 추상을 한다. 

그리고 개념 추상화 이미지와 타자 욕망과의 연관성으로 한 <morning glory 2022-g>는 실재의 자리를 대리한다.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4> 개인전: 해운대구청 갤러리, 부산 /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window 4, 148X179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3

 

비사실적 실재의 형상을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페인팅 설치 퍼포먼스로 그려낸 오브제 <나팔꽃 윈도우 4>는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의 자리를 드러낸 추상적 이미지의 오브제ɑ를 보인다.

그 오브제ɑ 는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나팔꽃 윈도우>는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공용이 화석된 긴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어떤 형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하나의 자리로서 전시 포스터 형상의 실재가 변화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그 실재의 형상을 맟춘다. 그 형상을 이룬 빛의 움직임에서 소리를 가려내는 추상화 <나팔꽃 윈도우>의 개념 즉 오브제ɑ 다. (추상화가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개념: 최철주현대미술이론/ ACN ・ 2023. 6. 19. 23:08 )

 

<morning glory window 4>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 <morning glory> 이미지를 오브제로 디자인한 라캉의 오브제ɑ<morning glory>는 비실재의 개념미술 이미지 <morning glory 2020 p26-01> 화폭에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연쇄하여서 실재 나팔꽃의 실재 개념미술 이미지다. 이것은 < Kim Yon-ja's bling bling 3>에서 전이한 <morning glory 2022-d-bling bling>을 의미하며 비실재의 사실적 이미지를 가역적 빛으로서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수작업으로 그리진 라캉적 오브제ɑ다.

그 오브제ɑ의 형상은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의 디자인 컨셉으로 한 <morning glory>에 가역적 빛의 음영을 중첩해 그려서 이것을 라캉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의 디자인 즉 추상화 이미지로서 < morning glory 2022-d-bling bling>으로 기호화하여서 연쇄한 현대 개념미술 작품으로서 실재의 자리를 대리하는 추상화 다. 

 

현대미술 작품으로서 풍습의 변화 대상으로 나팔꽃과 닭을 추상화로 그리는 것은 하나의 대상으로 보이는 또 다른 문화 공간의 단면적 이미지로서 병아리의 유아적 존재를 드러낸다.

이것은 추상적 공간에서 보이지 않는 작은 조각으로 그려진 대상으로서 닭이 타자의 욕망을 나팔꽃 배경에 감추고 실재는 배경의 음영속(morning glory 2022-g)에 사라진다. 그 육화된 나팔꽃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공간을 추상한다. 가역적 빛으로 형성된 공룡과 화석 그리고 병아리 동일한 공간에 중첩된 음영으로 이미지에서 언어적 표현처럼 은유성을 띠지만 그것이 비재현적 이미지라고 가정할 때 실재는 상사적으로 실재를 재현한 가상적 이미지에서 존재한다.

 

병아리가 거울에 비친 기표적 이미지를 동일시하는 상상계에서부터 시작된다. 주체로써 기표적 이미지가 닭이 아닌 것을 인지하면서 기표의 상징적 이미지와 실재와의 분리를 통해 상징계로 전이한다. 여기서 상징적 이미지와 실재가 분열을 통해 실재와의 만남이 이루어진다. 실재로서 기표적 이미지는 왜상적 이미지로 드러나지만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이미지는 비실재로서 의미와의 만남이다.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5> 개인전: 해운대구청 갤러리, 부산 /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window 5, 147.5X183.5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3

 

추상화로서 오브제ɑ<morning glory window 5>는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 <morning glory 2022-i>를 창문 밖의 동일한 또 다른 이미지다. 라캉적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타자의 욕망을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생성하여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을 창문안에서 드러낸 사실적 이미지가 순간적 왜곡된 타자의 욕망적 이미지로 전이된 의미적 구조로서 비실재의 사실적 추상화의 개념 예술성을 드러낸다. 

이것은 수학적 개념과 철학적으로 의미화한 언어적 해석을 넘어서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여기서 라캉적 회화는 임의적인 철학성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응시로서 순간적으로 이성적 지각할 수 있는 회화성을 말한다. (ACN ・ 2022. 4. 20. / 유아로서 병아리가 본 타자의 욕망 <나팔꽃> New York Exhibition 뉴욕 전시 도슨트1)

 

따라서 라캉적 개념으로 한 환상적인 사실적 회화다. 그러나 추상성으로 한 라캉의 상상계에서의 실체적 형상인 기표로서 예술적 형상의 실체는 사라지고 결과로서의 존재적 상징의 기의로 한 비실재적 형상으로 창문 밖에 환유적 추상으로 고착된다. 이것은 순간적 형상으로 보이는 현상적 추상을 본뜬 추상화다. 그 추상화에서 현상적 이미지가 은유성을 띠지만 그것이 비실재적 이미지라고 가정할 때 실재는 상사적으로 실재를 재현한 현상적 이미지에서 존재한다. 라캉의 오브제ɑ <나팔꽃 윈도우>로서 추상적 오브제를 재현하는 원근법적 시각체계의 기학적 도식에서는 추상 공간의 가역적 빛으로서 형상의 시각체계를 은폐하고, 무의적 욕망을 닭과 병아리로 육화된 형상으로 응시로 한 오브제ɑ는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순간적으로 드러난다.

회화로서 오브제ɑ <나팔꽃 윈도우>는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육화된 닭을 디자인하여서 형성된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생성하여 의미적 회화 구조의 예술성을 드러낸다.

여기서의 오브제ɑ에서 출현한 예술성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회화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육화된 오브제ɑ를 드러내어서 오브제ɑ가 창조성과 타자의 욕망의 자율성으로 디자인한 예술적 의미를 보인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육화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추상적 오브제의 의미를 가리키며, 그 오브제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으로 개념미술을 사실적으로 디자인하여서 형상의 실제가 추상된 타자의 욕망에 가려지는 추상적 풍경 형상의 의미를 가리킨다.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개인전: 해운대구청 갤러리, 부산 / Louis Choi Chuljoo's <morning glory window> Exhibition: at the Haeundae-gu Office Gallery, Busan.

 

 

추상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가역광으로 변형한 오브제의 현대 추상화 =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1, 150X180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3

 

<Choi chuljoo morning glory window 1> 은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육화된 닭의 오브제ɑ를 현대미술 회화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가역광으로 한 음영으로 변형한 현대 추상화 다.

 

뉴욕(Flushing Town Hall & Yeomyeong Hall)에서 루이 <나팔꽃>은 2회 개인전 관련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으로서 현대미술 회화 디자인 컨셉으로 한 포스터와 오브제 추상화를 제작했다 이것을 라캉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의 회화 디자인 즉 추상화의 전시 이미지로서 기호화한 것이 <나팔꽃 윈도우1> 이다.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구조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 <나팔꽃 윈도우1> 은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음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현대 추상의 의미 즉 오브제ɑ를 대리한다.

여기서의 오브제ɑ에서 출현한 예술성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회화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개념된 오브제ɑ를 드러내고 그 오브제ɑ가 창조성과 타자의 욕망의 자율성으로 한 예술적 개념 의미를 보인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육화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대리한다. 이것은 추상적 오브제의 개념을 가리키며, 그 오브제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이루고 형상의 실제가 추상된 타자의 욕망을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가려진 추상적 풍경속에서 추상적 형상으로 그 개념을 가리킨다. 

<나팔꽃 윈도우 1> 추상화는 상징계의 영역에서 분리된 영역인 실재로서 삶의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그 표현하려는 오브제를 보이지 않고 은폐로서의 인간의 실제적 의미를 여러개의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중첩한다. 즉 두 개의 상에서 주체가 어느 것인지를 구분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두 개의 상을 보이는 오브제로 동일시한다. 여기서 실재의 상과 다른 이미지의 상을 실재성을 보고 타자의 나팔꽃이 환호성을 지른다. 환호성을 지르는 나팔꽃은 실재와 다른 상에 만족해하기 때문에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또 다시 중첩된 실재적 의미를 실재 비사실적 표상으로 추상화 이미지를 감춘다. 

그 이미지는 라캉의 환상공식에서 현실에 없는 것을 인식하여서 적용시킨 개념이다. 그 개념은 무의식과 언어를 동일한 형상을 그려낸 하나의 이미지다. 여기서 응시로 보이는 나팔꽃은 하나의 색깔로 평면화된 왜상적 구조다. 이것은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평면적 나팔꽃 개념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가역적 음영으로 가려진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는 개념미술로 본 거울 이미지다. 

따라서 비사실적 이미지의 형상을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 <나팔꽃 윈도우 1> 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의 자리를 드러낸 추상적 이미지로서 오브제ɑ 다.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개인전: 해운대구청 갤러리, 부산 / Louis Choi Chuljoo's <morning glory window> Exhibition: at the Haeundae-gu Office Gallery, Busan.

 

 

 

추상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가역광으로 변형한 오브제의 현대 추상화/ Thread painting =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 151X178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은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라캉의 오브제ɑ다.

뉴욕(Flushing Town Hall & Yeomyeong Hall)에서 한국 화가 & 팝 아티스트 루이 <나팔꽃>개인전 관련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으로서 디자인 컨셉으로 한 포스터를 제작하여서 이것을 라캉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의 디자인 즉 회화의 전시 포스터 이미지를 기호화한 현대 추상화다.

비사실적 실재의 형상을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루이 최철주, 창문 밖에 나팔꽃)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의 자리를 드러낸 추상적 이미지의 오브제ɑ를 보인다.

그 오브제ɑ 는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창문 밖에 나팔꽃)은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공용이 화석된 긴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어떤 형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전시 포스터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추상의 의미 즉 오브제ɑ를 말한다. 

 

개념 미술로 한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 의미로서의 라캉적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추상적 영역은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이미지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보이게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나팔꽃은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다. 이것은 구상적 형태로서 동일한 의미의 구조로 한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을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추상이지만 그 형상이 다른 동일한 의미로서의 추상화는 유사한 색깔과 크기가 다른 사상적 비형상의 존재로서 실재하는 비사실적이기 때문이다.

그 존재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형상으로서 추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이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전시 포스터 개념 미술의 추상화 의미를 말한다.

그 추상화 의미의 현상적 자리를 전시 포스터로 대신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는 형상의 자리를 구별할 수 있어서 그 형상을 해석하는 이면(裏面)의 의미를 구상한다. 그 형상은 다른 의미를 말하려고 사상적 구조로 한 그 의미와 유사한 색깔과 크기의 추상하지만 상상계에서 개념 미술의 추상적 의미는 실재와의 동일시하여서 외형적으로 오브제의 이미지와 추상적 의미를 동일한 주체로써 오브제의 이미지와 동일시되면서 내적으로 주체는 변형된 추상적 의미를 형성한다. 이것은 형상의 추상적 의미를 가리키며, 그 형상은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적 공간을 정의하고 그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서 변화된 형상이 음영으로 가려지는 추상된 형상의 디자인적 의미를 가리킨다.

 

추상된 <최철주나팔꽃>에 타자의 욕망을 대리하는 형상을 디자인하여서 라캉의 오브제ɑ(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2) 로서 추상적 오브제로서의 재현한다. 그것은 원근법적 시각체계의 기학적 도식에서는 시각체계가 은폐된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자리를 만들어냄으로서 무의식에서 드러난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각각이 다른 순간적인 응시로서의 오브제ɑ가 추상된다.

이렇게 라캉적 개념미술로 추상된 오브제ɑ는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타자의 욕망을 존재로 한 전시 포스터 조형성의 음영으로 오브제ɑ를 생성하고 의미로서 존재한다. 그 의미적 존재로서 오브제ɑ는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어서 타자의 욕망의 자율적 선택으로 한 조형적 가치를 담고 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나팔꽃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을 추상적 오브제의 존재 의미로 그 오브제를 실제 가역할 수 있는 공간에 추상하여서 자리한다.

 

루이 최철주 <나팔꽃 윈도우> 개인전: 해운대구청 갤러리, 부산 / Louis Choi Chuljoo's <morning glory window> Exhibition: at the Haeundae-gu Office Gallery, Busan.

 

 

현대미술 회화 디자인: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기호화한 오브제 디자인 =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3, 151X178cm, 151X179~177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 <나팔꽃 윈도우>에서 라캉의 미술 이론을 추상화에 연쇄하여서 기표 이미지를 기의 이미지로 전환하고자 라캉의 미술 이론을 형식화한다. 이것은 라캉의 상상계와 환상공식을 반복 적용하여서 타자의 욕망을 회화에 발현하는 의미를 가지며, 라캉미술이론을 회화에 적용한 결과로서 타자의 욕망을 조형미에 접근하는 가치를 얻는다.

■ <나팔꽃 윈도우>는 주제의 대상이 아니고 타자의 욕망 공간적 배경이다. 하늘처럼 일관된 삶의 공간과 동일하다. 그 삶의 공간을 대리하는 만평과 팝아트에 연결하지만 비평하고 판단하지 않고, 사건의 사진으로 실재를 뉴스로 재현한다. 그리고 상징하는 대상의 실재를 타자의 욕망으로 개념화하는 효과는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구조화하여서 개념을 미술한다.

 

개념미술가 최철주의 라캉적 개념 추상화 디자인은 개념으로 한 회화성의 복귀다. 즉 회화 작품으로 생성하는 개념미술 디자인이다. 따라서 그의 현대 개념미술로 한 추상화는 시사만평처럼 현상적 이미지를 비판하지만 회화성으로 디자인적 가치를 말한다.

미술품에서 Ready made 기성품이 회화성을 대신할 수 없고 Marcel Duchamp 뒤샹처럼 창조된 개념과 그의 동조자 Joseph Kosuth 조셉 코수스가 말한 철학에 따른 메시지를 말한다. 

반면에 라캉 미술이론에서의 유아적 상상계의 허상을 개념으로 한 최철주의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은 시사만평으로 개념의 의미를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 이미지에 메시지를 담는다. 그것은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이것은 수학적 개념과 철학적으로 의미화한 언어적 해석을 넘어서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을 통해서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여기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은 임의적인 철학성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응시로서 순간적으로 이성적 지각할 수 있는 추상성 디자인을 말한다. (ACN ・ 2022. 10. 7. 2:33 최철주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 해석)

 

추상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가역광으로 변형한 오브제의 현대 추상화/ Thread painting = Louis, Chul-joo Choi,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3, 151X179~177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3>은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써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라캉의 오브제ɑ다.

현대 추상화로서 <최철주나팔꽃>은 초기 개념미술의 개념으로 한 회화성의 복귀다. 즉 주체로서 <나팔꽃>을 지나가는 순간적 형상을 드러내는 가역적 빛으로 한 음영의 구조가 타자의 욕망을 개념하는 형상을 추상화 작품으로 생성하는 현대 개념미술이다. 이것은 미니멀 아트로 한 과정을 보이는 미술과는 다른 배반적 개념미술로 한 라캉의 미술이론에 귀속된 개념미술로서 사실적 실재로 귀결한 욕망의 물리적 구조다. 

그 구조는 입체적 형태에서 여러 개의 왜상적 단면을 갖고서 개념미술로 한 회화적 이미지를 하나의 개념에서의 오브제로서 의미 구조의 다면적 이미지로 추상하여서 대상을 입면으로 정시하지 않고 왜곡된 시점으로의 교차점에서 여러개의 입체의 단면을 보인다 

 

비사실적 실재의 형상을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나팔꽃 윈도우3)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의 자리를 드러낸 추상적 이미지의 오브제ɑ를 보인다.

그 오브제ɑ 는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나팔꽃 윈도우3)은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공용이 화석된 긴 시간성에 감추어진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어떤 형상의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전시 포스터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추상의 의미 즉 오브제ɑ를 말한다. 

 

라캉의 오브제ɑ<morning glory window 3> 으로서 추상적 표상 이미지 오브제를 재현하는 음영적 도식으로 시각체계는 은폐하고 있으나,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적 관점의 가역적 빛의 음영에서 드러난 비사실적 형상을 순간적인 응시로서 보이는 추상화 오브제ɑ다.

루이 최철주 <morning glory window 3은 상징계의 영역에서 분리된 영역인 실재로서 삶의 의미를 은유적으로 표현한다. 그 표현하려는 오브제를 보이지 않고 은폐로서의 인간의 실제적 의미를 중첩한다. 즉 두 개의 상에서 주체가 어느 것인지를 구분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 두 개의 상을 보이는 오브제로 동일시한다. 여기서 실재의 상과 다른 이미지의 상을 실재성을 보고 타자의 나팔꽃이 환호성을 지른다. 환호성을 지르는 나팔꽃은 실재와 다른 상<morning glory window>에 만족해하기 때문에 가역적 빛의 음영속에 감추어진다. 

 

타자의 <morning glory window> 가 만족하는 것은 거울에 비친 실재의 상인 기표(signifier)와 다른 이미지의 상을 동일한 기표로 동일화하여 보이는 또 다른 나팔꽃으로 한 타자의 욕망과 그 욕망을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로 은유하여서 의미를 전달한다. 그 의미는 라캉적 의미작용의 시각적 문화로서의 특정효과가 발생하는 회화의 영역 즉 풍경속에서 응시적으로 기능하는 타자의 욕망을 순간적으로 볼 수있는 개념미술 이미지 다.

그 이미지는 무의식과 언어를 동일한 형상을 그려낸 하나의 추상화다. 여기서 응시로 보이는 <나팔꽃 윈도우> 는 하나의 색깔로 평면화된 왜상적 구조다. 이것은 회화에서 나팔꽃이라는 일관된 의미로 나팔꽃을 배경에 보이게 거울같은 윈도우를 비추고 있는 왜상적 평면성이다. 그 평면성은 <나팔꽃 윈도우>를 거울에 비친 실재(le réel)와 동일하지만 배경의 형상은 동일하지 않는 개념미술로 본 거울 이미지로서 윈도우<a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 3> 에 포치된다. 

배반적 개념미술로 추상된 라캉 오브제ɑ 는 <morning glory (outside the) window>로 전이 되어서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타자의 욕망을 존재로 한 조형성의 음영으로 오브제ɑ를 생성하고 의미적 존재 구조로서의 예다. 그 오브제ɑ에서 출현한 예술성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어서 타자의 욕망의 자율적 선택으로 한 조형적 가치를 담고 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나팔꽃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은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을 보인다. 이것은 타자의 욕망을 추상적 오브제의 존재 의미로 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그 오브제를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에 자리한다. 

 

그 자리에 피카소의 왜상적 이미지에서 하나의 면과 일치하는 라캉의 오브제ɑ가 회화의 비실재적 시각 이미지의 차원을 넘어선다. 따라서 평면이든 입체든 무관한 응시영역으로 한 타자의 욕망으로 생성된 이미지가 <나팔꽃 윈도우>에 추상한다. /글. 미술평론가 최철주 (추상화가 & 문화디자인박사)

 

Contemporary Artist Choi Chul-joo

 

 

 

 

 

 

 

 

 

 

 

 

 

 

 

 

 

-------------------------------------------------------------                                                          

Contemporary Art Design Method 

contemporary art design method example 16

 

Review of Contemporary Art Design Methods [16] Examples of Modern Art Design Methods through Abstract Art Works by Contemporary Artist and Cartoonist Louis Choi Chul-joo's Abstract Concept, Modern Art News Sketch & Abstraction : Abstract Art Review by Korean Artist Louis Choi Chul-joo as Treacherous Conceptual Art [11] 한국화가 추상 디자인 Abstract Design of Korean Painters: 개념미술 한국화 추상 디자인1/ 개념미술 의미 구조의 이미지를 설치한 한국화 추상 디자인한 팝아트 현대미술 작품 <나팔꽃 추상화 p48-4> 한국화가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 포스터100 이미지로 한 한국화 추상 디자인1 = 유명 현대 개념 미술가, 현대미술 작가, 현대 추상미술 한국화가 작품 / 추상 화가 그림 최철주 개인전: 2022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 나팔꽃 추상화 p48 유명한 현대 미술가 작품 현대 화가 추상 화가 루이 최철주 / 현대 개념미술 한국화 추상화 작품 <morning glory p48-4> 디자인 평론

 

Design review: the New York Contemporary Art Exhibition of "Morning glory" abstract painting(Poster): an exhibition of the desires of others seen by a chick as an infant." a contemporary art work that applies artist Louis Chul-joo Choi's Lacan art theory. 20220301~20220308 Flushing Town Hall, New York.

 

 

사실적 추상화의 개념미술이란 사실적 구조는 빛의 왜곡을 받아서 형태를 반사한다.  그 형태를 드러내는 것은 빛의 음영으로 확정되는 윤곽과 그림자다. 배반적 개념미술로 한 사실적 추상화는 이것에 주목하여서 사실적 개념을 형상화한다.  (사실적 추상화에 관한 최철주 개념미술이론)

Realistic structures reflect the shape by being distorted by light.  It is the outline and shadow that are determined by the shade of light that reveals its shape. Realistic abstractions as treacherous conceptual art take note of this and shape realistic concepts.

(Choi Chul-joo's Conceptual Art Theory on Realistic Abstract Painting)

 

현대미술 팝아트 한국화 추상화 작품: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 나팔꽃 p48-4

 

 

 

 

 Louis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2-j, 87X114cm, acrylic and composite materials on cloth, 2022/ 현대미술 팝아트 한국화 추상화 디자인: 루이 최철주 뉴욕 2022 전시 포스터100 이미지로 한 추상화 개념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 이미지를 기호화한 오브제 라캉적 추상화 디자인

 

현대미술 팝아트 한국화 추상화 디자인: 루이 최철주 뉴욕 2022 전시 포스터100 이미지를 오브제로 디자인한 라캉의 오브제ɑ

<morning glory 2022-j>는 나팔꽃의 실재를 의미하는 왜상(anamorphosis)적 이미지로 생성된 이미지를 수작업으로 디자인한 배면이 비춰지는 교직된 천의 형태에 그리진 라캉의 오브제ɑ다.

그 오브제ɑ의 형상은 뉴욕(Flushing Town Hall & Yeomyeong Hall)에서 루이 <나팔꽃>개인전 관련 현대미술 추상화 작품으로서 디자인 컨셉으로 한 포스터<morning glory poster-48>를 제작하여서 이것을 라캉적 의미 구조로서 형상의 디자인 즉 회화의 전시 이미지를 기호화하여서 연쇄한 현대 개념미술을 한국화 추상화<morning glory p48-2> 디자인했다.

 

 Chul-joo Choi, <BLACKPINK creates a new image in the mirror like the picture "Las Meninas·The Maids 6>,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r

 

 

Chul-joo Choi, <morning glory 2022-j & BLACKPINK-2>, a hand-painted picture on a compute

 

가역적 빛으로 생성된 의미 공간에서 보이는 형상의 의미를 그려낸 오브제(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 포스터-48)는 병아리가 타자의 욕망을 시간성에 감춘 이미지를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BLACKPINK creates a new image in the mirror like the picture "Las Meninas·The Maids 6>을 의미를 구조화하여서 그 오브제를 실제 형상으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의미화하고 형상의 실제 변화된 움직임에 의해 가려지는 개념적 추상의 의미 즉 거울속의 이미지는 가상적인 비실재의 이미지로서 벨라스케스가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에서 드러낸 환상적 이미지 벨라스케스의 시녀들(Las Meninas)의 순간적 왜곡된 상 오브제ɑ를 말한다.

 

현대 미술평론가 & 개념미술가 최철주의 현대 개념 디자인은 초기 개념미술의 개념으로 한 회화성의 복귀다. 즉 회화 작품으로 생성하는 개념미술 디자인이다. 따라서 그의 현대 개념미술은 시사만평처럼 현상적 이미지를 비판하지만 회화성으로 디자인적 가치를 말한다.

미술품에서 Ready made 기성품이 회화성을 대신할 수 없고 Marcel Duchamp 뒤샹처럼 창조된 개념과 그의 동조자 Joseph Kosuth 조셉 코수스가 말한 철학에 따른 메시지를 말한다.

반면에 라캉 미술이론에서의 유아적 상상계의 허상을 개념으로 한 최철주의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은 시사만평으로 개념의 의미를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 이미지에 메시지를 담는다. 그것은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회화의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이것은 수학적 개념과 철학적으로 의미화한 언어적 해석을 넘어서 사건의 현장 사진을 만평으로 비판적 시각과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을 통해서 삶적 가치를 교합시킨다.

여기서 라캉적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은 임의적인 철학성보다는 타자의 욕망을 응시로서 순간적으로 이성적 지각할 수 있는 추상성 디자인을 말한다. (ACN ・ 2022. 10. 7. 2:33 최철주 개념미술 추상화 디자인 해석)

 

현대미술 팝아트 한국화 추상화 작품: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 나팔꽃 p48-4

 

라캉적 디자인방법론(Lacan's design methodology)으로 한 회화 디자인에 대한 라캉적 도슨트: 라캉적 디자이너, 디자인평론가 & 현대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디자인방법론: 현대미술 추상 한국화 작품으로서 <morning glory 2022-J>에 라캉의 환유공식 f(S...S')S=˜ S (-)s 적용하여서 가역적 빛으로 생성한 페인팅 <BLACKPINK creates a new image in the mirror like the picture "Las Meninas·The Maids 6>를 중첩한다. 그리고 언어적 은유 이미지를 연쇄하여서 라캉의 환유공식을 재적용하여서 가역적 빛의 음영으로 한 공간의 또 다른 자리에 <BLACKPINK creates a new image in the mirror like the picture "Las Meninas·The Maids 6>의 현상적 자리를 정하여 <morning glory 포스터48>로 보인다. 이것은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에서의 라캉적 개념미술로 디자인한 포스터가 라캉적 오브제를 실제화한 추상화<morning glory 포스터48-4>임을 말한다.

 

라캉적 페인팅 디자이너 루이 최철주, 라캉의 미술이론을 스토리보드로 <나팔꽃> 뉴욕 2022 전시 포스터100을 각각의 이미지로 형상화한 페인팅 디자인/ Painting designer, Louis Choi Chul-joo (Doctor of Modern Painter & Culture Design), a Lacan designer, designs the image of the painting by shaping Lacan's art theory as a storyboard : 뉴욕 2022 전시 포스터 P48-0-2 

 

 

 현대미술 팝아트 한국화 추상화 작품: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 나팔꽃 p48-0-2

 

 

현대미술 팝아트 한국화 추상화 작품: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 나팔꽃 p48-3

 

 

현대미술 팝아트 한국화 추상화 작품: 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 나팔꽃 p48-4

 

라캉의 오브제ɑ<루이 최철주 뉴욕 전시 나팔꽃 p48-4>로서 추상적 오브제를 재현하는 원근법적 시각체계의 기학적 도식에서는 시각체계는 은폐하고 있으나,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적 관점의 순간적인 응시로서의 오브제ɑ다.

회화로서 오브제ɑ<morning glory 2022-j>는 일반성을 벗어나 예술성을 획득하고자 타자의 억압된 무의식에서 드러난 욕망을 통해 표출된 왜상적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형성하고 존재로서 오브제ɑ를 생성하여서 타자의 무의식적 욕망에서 드러낸 환상적 이미지 벨라스케스의 시녀들(Las Meninas)의 순간적 왜곡된 이미지를 의미적 구조으로 한 예술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여기서의 오브제ɑ에서 출현한 예술성은 타자의 욕망적 관점에서 왜상적 이미지<BLACKPINK creates a new image in the mirror like the picture "Las Meninas·The Maids 4>로 오브제의 이미지를 의미의 구조로 변형<나팔꽃 포스터 48> 함으로써 오브제의 또 다른 존재로서의 오브제ɑ를 드러내어서 오브제ɑ<나팔꽃 p48-4> 가 창조성과 타자의 욕망의 자율성으로 한 예술적 의미를 담고 있다.

그리고 회화적으로 육화된 닭의 배경에 감추어진 타자의 욕망으로서의 작은 조각<morning glory 2022-j>는 그 형상의 실제로 바꾸는 기표적 의중 운동을 통해서 가역된 실제 추상적 공간<나팔꽃 p48-4> 을 보인다.

이것은 추상적 오브제의 의미를 가리키며, 그 오브제는 실제 가역할 수 있는 추상 공간을 말하며 형상의 실제가 추상된 타자의 욕망을 팝아트 한국화 추상화로 가려지는 추상적 풍경 형상의 의미를 비실재의 사실적 형상으로 추상한다.  /글. 디자인평론가 최철주 (한국 화가 & 문화디자인박사)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