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현대 설치 미술가, 현대 개념 이미지 설치 미술가 & 현대 미술가 최철주 라캉적 디자인 부산시립미술관 조형물/ 조형물을 라캉 오브제ɑ로 현대 개념 설치 미술로 형성하는 라캉적 설치 디자인

라캉적 디자인

by Art Review 2023. 1. 1. 14:21

본문

인스톨레이션 평론/ 라캉적 설치 디자인: 현대 설치 미술가, 현대 개념 이미지 설치 미술가, 현대 미술가, 개념미술가, 팝 아티스트 & 현대 개념 이미지 설치 디자이너 루이 최철주 사실적 구조의 개념적 실재 사인 조형물 디자인

라캉적 디자인: 예술적 조형물 모색은 조형물의 디자인 환경을 본바탕의 것으로서 인간의 욕망을 향한다. 부산시립미술관 조형물 설치 관련 부산광역시 예산 편성, 기획 및 디자인: 최철주 학예연구사(2009년)

 

최철주(디자인), 해금광고(설치/시공), “부산시립미술관 사인․조형물 ”, 2009.2

부산시립미술관 조형물 디자인 프로세스

 

부산시립미술관을 출퇴근하면서 타자의 무의식에서 존재로서 드러난 이미지는 부산시립미술관을 측면에서 순간적으로 볼 수 있었던 외관의 이미지이었다. 이것은 원근법적 시각체계에서 보이는 왜상적 이미지이다. 즉 부산시립미술관 파사드 형태의 정면에 있는 철재의 바(bar) 사이에 뚫린 공간이 보이지 않는 왜상적 이미지로서 부산시립미술관의 가상적 이미지이며 철을 질료로 한 실재이다. 이것은 라캉의 환유과정에서 욕망으로 드러난 기표 이미지이며, 은유공식에 따라 다른 기표이미지(평면계획)로 치환되면서 의미작용의 효과로써 상징적 조형물로 형성된 것이다. 예술작품으로 한 조형물에서 오브제ɑ의 왜상적 이미지는 원근법적 차원에서 시각적 인지는 정량화한 형태로 인지됨으로 욕망적 접근에 한계가 있다. 이것은 타자의 소외과정을 통해 만나는 주체적 의미로서의 오브제ɑ는 순간적으로 존재되었다가 무의식 영역으로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렇게 사라진 오브제ɑ를 라캉적 디자인으로 형성하는 것은 라캉의 환유공식 f(S...S')S=˜ S (-)s 에 따라 기표이미지와 기표이미지의 연결구조(S...S')에서 연쇄화 후 드러난 디자인적 결핍(-) 즉 무의식으로 사라진 욕망을 디자인 의미작용의 효과(fS)로써 타자의 무의식에서 욕망적 이미지를 렌더링 하여 기표이미지로 생성한다.

 

이것을 은유공식 f(S/S')S =˜ S (+) s 에 따라 원래 기표로 한 렌더링이 다른 기표이미지로서 오브제ɑ로 대치되면서(S/S') 원래의 기표이미지(S)로써 렌더링이 기의(s)로써 왜상적 이미지 즉 오브제ɑ가 된다. 이것은 Work. 5. 4에서 왜상적 이미지가 Fig. 5.3 렌더링에서 존재로서 오브제ɑ로 전이하는 것이다.

Work. 조형물라캉적디자인. 3 욕망적 관점에서 드러낸 왜상적 이미지의 렌더링

타자의 무의식에서 존재로서 드러난 이미지는 부산시립미술관을 측면에서 순간적으로 볼 수 있었던 외관의 이미지이었다.

 

 

Fig.조형물라캉적디자인.1 왜상적 이미지(렌더링)를 라캉적 디자인으로 오브제ɑ를 형성하는 것

상징성을 지닌 라캉적 조형물은 타자의 욕망으로 한 오브제ɑ로서 실재에 존재하게 되면서 왜상적 이미지로서 오브제ɑ는 존재의 의미를 남기고 은폐된다. 여기서 오브제ɑ를 드러내는 소외과정은 환상공식$◇a에 따라 결여된 주체와 '오브제ɑ'와의 관계를 통해 타자의 무의식에 은폐되었던 상실된 존재를 찾게 된다. 이 소외과정은 존재 안에 있는 욕망적 주체를 드러낸다.

이것은 환유공식 f(S...S')S=˜ S (-)s 에 따라 기표이미지와 기표이미지의 연결구조(S...S')에서 연쇄화 후 드러난 디자인적 결핍(-) 즉 무의식으로 사라진 욕망을 디자인 의미작용의 효과(fS)로써 타자의 무의식에서 욕망적 주체의 이미지를 렌더링 하여 욕망적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것을 은유공식 f(S/S')S=˜ S (+) s 에 따라 원래 기표로 한 욕망적 주체의 렌더링이 다른 기표이미지로서 오브제ɑ로 대치되면서(S/S') 원래의 기표이미지(S)로써 렌더링이 기의(s)로써 왜상적 이미지의 렌더링에서 전이된 오브제ɑ로서 조형물이 형성된다.

라캉의 환유와 은유과정에 따라 전시 조형물 디자인에 적용은 환유의 공식 f(S...S')S=˜ S (-)s 에 따라 기표 이미지와 기표 이미지의 연결구조(S...S')에서 연쇄화 후 이것을 원래 기표로 한 하나의 기표 이미지로서 렌더링이 다른 기표 이미지로서 조형물로 대치되면서(S/S') 원래의 기표이미지(S-렌더링)가 기의(s-사인물)가 된다.

이것은 은유의 공식 f(S/S')S=˜ S (+) s 에 따라 한 기표 이미지로서 렌더링이 다른 기표로서 조형물로 치환하는(S/S') 의미작용의 효과(fS)는 사인․조형물을 형성하는 막대기(+)를 건너는 것과 합동한다(=).라고 말한다.

 Work.조형물라캉적디자인. 4 라캉적 디자인2로 형성된 부산시립미술관 사인․조형물

Work 5. 5는 왜상적 이미지가 실재의 이미지로 보이는 원근법적 시점에서 타자의 욕망적 사유를 통해 타자의 무의식에서 존재로서 드러난 이미지이다. 사인․조형물의 질료가 실재라고 한다면 사인․조형물의 이미지는 상징적 이미지이다 즉 타자의 욕망에서 드러난 왜상적 이미지가 무의식에서 존재로서 드러난 실재의 철을 질료로한 부산시립미술관의 상징적 이미지이다.

자연환경과 동일시하려는 라캉적 디자인 조형물은 자연환경에서 인지적 변화가 일어나고 그 변화된 이미지가 자연환경에 포함된 표상적 이미지로 재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라캉의 오브제ɑ가 순간적으로 라캉적 디자인 조형물에 드러내면서 무의식적 욕망에서 존재되었음을 말해준다.

Work.조형물라캉적디자인. 5. 라캉적 디자인2로 형성된 조형물에서 왜상적 이미지로서 오브제ɑ가 타자의 무의식 안에 은폐되어 사라지는 순간

Work.조형물라캉적디자인. 5.에서 왜상적 이미지로서 오브제ɑ는 타자의 무의식 안에 은폐된다. 그것은 전시공간에서 이동요소의 자리(장소)에서 보이는 퍼스펙티브 이미지에서 전시구성요소 즉 조형물이 형성되면서 무의식의 욕망 안에 은폐되어 사라진다. 이것은 오브제ɑ가 원근법적 시각체계에서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Photo. 조형물 라캉적디자인. 1 부산시립미술관 사인․조형물

Photo. 조형물 라캉적디자인. 1 부산시립미술관 사인․조형물은 철을 실제의 재료로 형성된 입체적 조형물이며, Photo. 조형물라캉적디자인. 1에서 설치됨에 따라 항상 같은 자리(장소)에 있는 조형물이다.

라캉의 응시영역은 언어적 구조체계이다. 언어로써 반복은 무의식적 습관에 의한 동일성과 반복된 이미지에서의 차이성을 형성한다. 따라서 부산시립미술관 사인․조형물을 반복적으로 빈공간과 수직적 메탈(metal)의 바(bar)가 연속되게 하였다.

이것은 전체적으로 부산시립미술관 파사드의 형상으로 보이는 복합적 시각효과가 나타난다. 각각의 수직의 바는 전체 파사드에서의 부분으로써 이미지의 연속성과 차이성을 가진다.

이것은 외형적으로 동일한 형상이지만 응시적 시점에서 순간적으로 보이는 왜상적 형상을 타자의 무의식에 담고 있다. 따라서 라캉적 디자인을 통한 조형물은 타자의 욕망에서 형성된 실재가 된다. 여기서의 실재는 조형물의 질료로서의 실재이다. 이렇게 실재에서 분리된 왜상적 이미지의 기표언어로부터 표출된 렌더링을 통해 조형물을 설치한 것이 라캉적 디자인2이다.

인지적 커뮤니케이션 체계에서 라캉 이론을 통한 전시 조형물에 디자인 적용의 결과에 따라 오브제ɑ가 형성되었다. 환경예술로써 라캉적 디자인 조형물은 새로운 디자인으로 형성된 것이다. 기성 제품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부여시킨 레디메이드(ready-made)의 오브제와 함께 환경 조형물의 대표적인 질료는 철조(Steel art)이다.

라캉적 디자인에서 드러난 조형물을 형태적으로 형성에 적합하다. 조형물의 질료로서의 철조는 전시공간을 자연환경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된다. 이것은 자연환경의 공간에서 입체적 형태로 부각되면서 장소성을 인지시켜주는 라캉의 오브제ɑ로서의 조형물이다. 이것은 그 자리(장소)에서 환경의 시각적 형상으로 새롭게 드러내며 자연환경을 변화시키는 예술 작품으로서 라캉적 디자인의 조형물이다.

글. 설치 미술가 최철주 (개념 설치 미술가 & 문화디자인박사)

 

관련글 더보기